Jihee Park Solo Exhibition: When Does a Rectangle Become a Parallelogram?
-Venue: Alternative Space LOOP
-Organized by: Alternative Space LOOP
-Sponsored by: Arts Council Korea
Jihee Park Solo Exhibition: When Does a Rectangle Become a Parallelogram?
-Venue: Alternative Space LOOP
-Organized by: Alternative Space LOOP
-Sponsored by: Arts Council Korea
박지희 개인전: 직사각형은 언제 평행사변형이 될까?
-장소: 대안공간 루프
-주최/주관: 대안공간 루프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Jeehee Park who won the Emerging Artist Competition at Alternative Space LOOP in 2015 tells the unheard stories of the high density multi-family residential district in Nonhyeon-dong, Seoul, in a quite unexpected way. The exhibition is titled “When Does a Rectangle Become a Parallelogram?” There are two clues to understand this seemingly secretive exhibition, or at least, this abrupt question: one is that the artist has much interest, not only in residential spaces, but also in the organization, form, and functioning of cities; the other is her signature approach of using scientific experiments to visualize social phenomenon, such as urban planning. Here, too, she presents various visual devices using science and technology to show her extraordinary framing of everyday spaces.
As with all scientific experiments, the artist starts with suspicion, which is, in this case, about a residential district where she lived once. There is a chance that this multi-family zone may soon become a large scale commercial zone or an apartment complex, stretching toward a bright future, but frankly speaking, this prospect seems to be hardly guaranteed in the present conditions. Neither has the district any cultural or historical values worth preserving. In short, it is a kind of noncommittal zone. The dim, vague expectations for change have only increased temporariness and variability in this area. Park observed and researched these curious behind-the-scenes stories, paying attention to the compositions, characteristics, functions of the residential structure. Because of the temporary nature of the neighborhood, most of the buildings are neither an apartment nor an officetel(a portmanteau word of ‘office’ and ‘hotel’ which refers to a multi-purpose building with residential and commercial units in Korea), but a small, one-room or two-room units house which the tenant can leave anytime. Largely pre-fabricated rather than built completely onsite, they are marked by uniform exterior materials, cheap and easily changeable interior materials, and waterproof green roofs that are inexpensive, too. This may be one of the typical images of residential spaces in Korea, a country under development which has provided a makeshift or a temporary abode to those who are dreaming of sudden rise through redevelopment projects. These embarrassing stories, however, have been officially hidden as the invisible or the not-yet-thought, as if to cover the present with some future. The artist aims to reveal these excluded and concealed view angles. For this purpose, she creates a new structure or space into which she can condense the high density multi-family landscape. The following is how the exhibition is constructed.
Inspired by the most common residential form in this area, one-room house, Park makes globes with 55 kg and 20.5kg (as heavy as the weight of the amount of air in the house) and conducts an experiment of rolling it on a slope with the same tilt angle with Nonhyeon Hill or on a device whose top follows the cycloidal curve, on the incline of each side of which, characteristically, a moving object reaches the maximum speed. The pattern on the exterior of the devices is a color separation of an image of granite, a building material frequently used in home construction, showing that the experiments are not a mere scientific one but an appropriation of the spatial context of this residential zone. She also produced corner-shaped tables for a volcano experiment using the materiality of green waterproof coating. Her scientific experiments are not only condensation and displacement of the spatiality of this high density multi-family area into a different context, but also invention of apparatuses for visualizing its invisible, hidden narratives. They dig up the spatial properties which are concealed (un)consciously and reorganize them based on a fundamentally different logic. In this way, Park transforms the experiment with the spatial unit of the district, namely, one-room house, into one with physical movement by displacing the very unit with a globe corresponding to its volume, and convert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ct in a chemical way to visualize its precarious, ambiguous aspects. A two-dimensional version of this visualization could be found in her drawing on acrylic board using film sheet. All these works on display, suggestive of Constructivist or Machinist aesthetics, aim to epitomize the dynamics of the area. They look even like a diagram of the dynamic arrangements in this area and its potential of change. Therefore, these curious scientific experiments are all dedicated to exposing this particular housing area in an unexpected, unprecedented way, which in turn function as spatial technology to translate the area into an unfamiliar, uncommon landscape—a landscape of the fundamental frameworks or structures which condense the district or a landscape which has fluid movements or the dynamics of change. Then, a new question rises here: Is it possibly a certain kind of movement or change which may occur in the district that has occupied the artist’s attention as much as the above-mentioned invisible scenes and stories? If so, the abrupt question in the title—when does a rectangle become a parallelogram?— may have been intended to focus on the possibility of that change. Because a rectangle originally belongs to the family of parallelograms, a rectangle already includes potential changes to a parallelogram and thereby, is able to return to a parallelogram on a particular occasion or opportunity. As you know, a rectangle as a special type of square with four right angles roots in a broader and more flexible concept of quadrilateral called parallelogram. So it seems that the question looks at the same target as the works presented in the exhibition which go back to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a given place and visualize the possibility of its change.
In another work, Park collects the types of foods consumed by those who are living in the area, arranges them in a space as big as a one-room house, and attaches them with zinc plates and copper pipes to make an electrical battery. It deals with the change of energy which moves in the context of a concrete space, and once again, the specific features of a living space are converted to another visual form through pseudo-scientific experiments and devices. The artist experiments not only with the change of a spatial structure but also with the ways and modes of living in it, which shows that her concern is not confined to scientific(physical and chemical) transformation of a place but continues to the dimension of life and living in it. Or, more accurately, Park may have been more intended to say that the motive that can fundamentally triggers such change is, eventually, (the changes in) our life in a specific spatial condition.
Min Byung Jic, Vice Director, Alternative Space LOOP
작가들의 관심이란 무릇, 범상치 않은 것들로 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겠지만 종종 우리 내 평범한 삶의 일상 곳곳을 의뭉스럽고 집요한 시선으로 향하기도 한다. 다른 시선으로 재차 캐물어 그 의미를 조곤조곤 곱씹고, 작품으로 개념화, 형상화시킴으로써 결국 우리로 하여금 세상을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고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2015년 루프 신진작가 공모전에 선정된 박지희 작가의 경우도 후자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직사각형은 언제 평행사변형이 될까?’라는 다소 낯선 제목과 함께 하는 이번 전시도 뜬금 없다할 정도로 논현동 다가구 밀집지역에 대한 이야기들을 늘어놓는다.
이 의뭉스러운 전시를 독해할 일련의 단서는 작가가 삶의 주거 공간을 비롯해 도시의 구성과 형태, 그리고 그 작동에 대해 관심이 많다는 것이다. 이를 살펴볼 수 있는 작업이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영국 유학시절의 작가의 전작들인데, 작가의 거주지이기도 했던 런던 남쪽에 위치한 엘리펀트 & 캐슬Elephant and Castle의 공공지원주택과 주민에 대한 일종의 프로젝트 형식의 작업이었다. 70년대의 도시계획과 그로 인해 생겨난 도시건물 그리고 이에 얽힌 사회문제를 다각적으로 조명한 것이다. 작가는 이 지역을 중심으로 근방의 대표적인 공공지원주택인 에일즈베리 단지Aylesbury Estate와 헤이게이트 단지Heygate Estate의 공공사회주택 재개발의 역사와 사회현상에 대한 폭넓은 자료조사를 바탕으로 이러한 도시공간의 구조가 어떻게 부조리한 방식으로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한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작가의 작업방식인데, (의사擬似) 과학실험과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조형적이고 시각적인 작업으로 사회문제와 현상들을 접근했기 때문이다. ‘과일전지시리즈’는 공공지원주택의 유지보수 문제를 지역주민들이 이용하는 열대과일과 건축 재료인 동파이프를 이용하여, 기초전지voltra cell 실험으로 가시화시킨 작업이다. 재개발의 주된 이유였던 건물배관의 노후문제를 동파이프 조합으로 이루어진 허름한 설치구조를 통해 형상화시키고 이 구조에 기생하고 있는 과일들로 만들어진 에너지가 LED 램프나 부저를 울리게 함으로써 이들 사회현상을 시각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이 작업은 다시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된 전지 드로잉으로 발전되는데 과거와 현재가 혼재된 건물의 드로잉들과 이미지들을 전해질을 바른 종이 위에 금속테이프로 드로잉 함으로써 이미지들의 부식으로 전기가 작동되고 그 에너지의 작동으로 드로잉의 부식을 가속화시키는 묘한 상태를 만들게 된다. 주민들이 애용하는 과일들의 부식이 재개발의 원인과 이유를 알려내는 형국이고, 지역의 건물구조를 가시화시킨 화학전지의 작동자체가 재개발의 상태에 대한 기묘한 형상화가 되는 것이다. 다른 몇몇 작업의 경우, 경사와 경사로가 많은 건물의 특징적인 외관에 주목하여 이를 가시화시키는 특정한 이미지를 통해 실패한 유토피아를 형상화시키기도 하는데, 여기서 생각해봐야 할 것은 작가의 작업이 일종의 과학실험을 통해 도시계획과 같은 사회현상을 가시화시키는 독특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과학과 테크놀로지, 실험이 작가에게 있어 자신이 상상하고 의문시하는 세상의 원리를 다른 방식으로 검증하는 원리이며 동시에 조형적인 미디엄 혹은 시각장치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단순한 수단을 넘어, 일정한 과학적 실험 기능과 특정한 유용성마저 지니게 한다는 점도 주목을 요한다.
이번 전시도 일상공간에 대한 특유의 범상치 않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를 과학(적 실험)과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시각장치를 통해 펼쳐낸다. 과학적 실험이 그렇듯 먼저 의심부터 시작되는데, 그 대상들이 다름 아닌 작가가 살기도 했다는 논현동 다가구 밀집지역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작가의 이러한 의심을 동動하게 한 이유가 자신의 삶의 경험 때문만이 아니라 2012년 ‹맨인블랙3› 홍보차 내한한 윌 스미스가 찍은 한 장의 사진이었다는 점이다. 외부인들의 어설픈 시각, 곧 다가구 소형주택으로 바글거리는 우리 내 삶의 풍경이 아니라, 리츠칼튼 호텔 프레지덴셜 스위트룸 발코니에서 이국의 풍경으로 아름답게 담아낸 사진, 다시 말해 평범한 사람들은 좀처럼 가져볼 수 없는 시점에서 바라본 이방인의 낯선 시각이, 작가의 의구심을 돋게 했던 모양이다. 현실과는 다른, 이상화되고 권력화 된 시선에 대한 반감일 수도 있겠고, 작가 스스로 오랜 삶을 살았던 그 공간에 대한 정확한, 그러면서도 다른 방식으로 이러한 공간성의 맥락을 실험하고 그럼으로써 이를 가시화시키려 했던 것 같다.
논현동 다가구 밀집지역은 늘 개발 대기 중인 한국의 주거공간이 그렇듯 언덕을 따라 나지막한 소형빌딩과 주거용 건물들이 오밀조밀하게 자리한 지역이다. 장밋빛 미래를 향해 쭉쭉 뻗은 신도시 아파트 단지 혹은 대규모 상업지구로 바뀔 어떤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이런 희망들이 지금의 현실에서는 마땅히 보장되지도 않은 곳이며 반대로 보존할 만한 문화적, 역사적 가치가 있는 곳도 아닌 어중간한 삶의 공간이다. 그리고 이러한 애매한 변화에 대한 기대로 인해 임시적이고 가변적인 공간성으로 자리하는 곳이기도 하다. 작가는 이 지역 공간들이 가진 이러한 묘한 속내를 주목하고 리서치를 한다. 이 지역의 건축물의 구성이나 특성, 기능들에 눈길을 돌린 것이다. 윌 스미스 같은 타자의 시선들이 포착할 수 없는 지점들인 셈이다. 공간의 임시적 특성으로 인해 이 지역의 건축들은 아파트도 오피스텔도 아닌 언제든 떠날 수 있는 애매한 원룸, 투룸의 형태들이 많고, 건축이 아닌 조립에 가까운 건물들이기에 통일된 외장재나 쉽게 교체 가능한 저렴한 내장재들을 주로 사용하거나, 지붕 역시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녹색의 방수 지붕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개발 진행 중인 한국 주거공간의 전형적인 이미지들이고, 언젠가는 재개발로 수직적 상승을 꿈꾸는 이들을 위한 임시적인 방편, 거처에 불과한 곳인 셈이다. 이런 이유로 이 지역의 부끄러운 속내들은 비가시적인 것들로, 사유되지 않은 것들로 공공연히 은폐되곤 했다. 언젠가의 미래로 현재가 가려지는 형국인데, 작가는 바로 이 지점에서 이런 배제되고 은폐된 시선들을 다른 방식으로 드러내려 한다. 이를 위해 작가는 이 지역의 다가구 풍경들이 압축된 새로운 구조물, 공간을 만든다. 이번 전시의 내용적 얼개들이다.
다가구 풍경의 주를 이루는 원룸의 주거형태에 착안하여, 원룸공간이나 원룸텔, 혹은 미니원룸의 (공기) 부피와 그 무게에 해당되는 55kg과 20.5kg의 구를 만들고(‘원룸 분동’, ‘미니원룸 분동’), 이를 논현 고개의 경사각에 해당되는 각도를 가진 장치를 통해 비스듬히 떨어지게 하거나(‘화강암 언덕을 내려가는 속도’) 경사면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내는 특별한 성질을 가진 사이클로이드 곡선 구조물 장치를 만들어 굴리는 실험을 하는 식이다.(‘최단거리를 왕복하는 곡선’) 그리고 이들 경사로 장치의 외부 패턴은 우리의 일상 건축자재로 흔히 활용하는 화감암 이미지를 색 분해하여 사용해서, 이들 실험이 단순히 과학상의 실험이 아니라 논현동 다가구의 공간 맥락을 전용한 것들임을 분명히 한다. 그리고 코너 모양의 테이블을 만들어 논현동 다가구 밀집지역의 주된 풍경을 이루고 있는 방수천의 녹색 안료가 되는 산화크롬을 발생케 하여 그 물리적 이동량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한다. (‘교집합과 합집합’) 중크롬산에 열을 가하면 산화크롬이 되면서 공기 중으로 가볍게 날리게 되는 현상을 활용한 실험인데, 풍경을 구성하는 일부의 물질을 추출하여 그 물성을 실험함으로써 공간의 다양한 변화가능성을 가시화시킨 것이다. 공간에 대한 사유를 그 공간 풍경을 이루는 요소들의 화학적이고 물리적인 변환을 통해 접근하려는 색다른 시도로 읽혀지는 작업이다. 작가의 이러한 과학적 실험들은 논현동 다가구 밀집지역의 공간성을 다른 방식으로 응축, 치환시키는 독특한 실험인 동시에 공간이 가진 비가시적인 속내를 다른 방식으로 가시화시키는 장치들의 고안이기도 하다. (무)의식적으로 은폐된 공간의 속성을 다시 들추어내어 전혀 다른 논리로 재구성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들 지역의 단위가 되는 원룸 공간의 존재를 이들 공간의 부피에 해당되는 구로 치환하여 물리적 운동성으로 실험하고, 이 지역 풍경의 특징들을 화학적으로 변환케 하는 이러한 작업들은 잠재적인 변화로 유동하는 이 지역의 불안하고 애매한 공간적 존재와 그 특성들을 가시화시킨다. 아크릴판에 필름지로 형상화시킨 드로잉 작업은 이러한 가시화의 평면 버전 작업이라 할 수 있다.(‘논현동(J가 2012년 5월 7일에 보았을지도 모르는)’) 구성주의나 기계주의 미학을 연상시키는 이들 이미지는 공간의 역동적인 변화로 유동하는 이들 지역의 특정한 이미지를 유감없이 드러낸다. 이들 공간이 가진 역동적인 배치와 그 변화 가능성을 담고 있는 다이어그램이라 해도 무방할 것 같다. 결국 이들 과학적 실험은 공간을 다른 식으로 드러내기 위한 시각적인 장치들이고, 이는 다시 공간 테크놀로지로 작동하여 논현동 다가구밀집지역에 대한 낯설고 색다른 풍경을 만들어낸다. 이들 풍경들은 작가의 경험과 구체적인 관찰, 탐험에 바탕을 두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작가 특유의 작업 방식, 곧 과학적 실험을 활용한 방식으로 응축, 변형시켰다는 점에서 여느 풍경과 다르긴 하지만 여전히 특정 공간들에 대한 원형적인 풍경으로 자리한다. 혹은 이들 공간을 압축시킨 근원적인 얼개, 구조들의 풍경일 수도 있겠다. 변화로 유동하는 움직임을 담고 있는 풍경, 변화의 동학(動學)이 내재된 풍경 말이다. 작가가 특히 관심을 둔 것도 어쩌면 이러한 비가시적인 풍경만큼이나 이들 공간의 어떤 움직임이나 변화에 있지 않았을까? 그렇기에 ‘직사각형은 언제 평행사변형이 될까?’라는 작가의 뜬금없는 질문 역시 공간의 잠재적인 변화가능성을 주목하는 문제설정이 아닐까 싶다. 다시 말해, 직사각형도 본래 평행사변형에 속하는 만큼 이미 평행사변형으로의 잠재적인 변화를 품고 있는 것이라 특정한 기회나 계기를 통해 다시 평행사변형으로 돌아갈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곧 특정한 조건과 상황 변화에 따라 직사각형에 움직임이나 혹은 다른 시선과 차원이 더해지면 원래의 평행사변형이 되는 것이다. 본래의 원형적인 것으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직각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특정한 형태를 지칭하는 직사각형도 본디 이보다 더 넓고 유연한 사각형 개념인 평행사변형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니 말이다. 결국, 이 질문은 근원적인 구조로 돌아가 공간의 변화 가능성을 가시화시키는 이번 전시의 작업들과 궤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더 덧붙이자면, 변화 가능성을 내재한 공간 속에서의 다른 시선의 차원을 강조한 것이고 작가는 이러한 질문, 혹은 문제설정을 통해 지금의 구획되고, 단위화 된 논현동 밀접 지역의 공간들을 훨씬 더 유연한, 본래의 잠재적인 공간성으로 변환시키려 한 것이다. 그렇기에 이 질문에 대한 궁극적인 대답은 이번 전시에서의 논현동 다가구밀집지역의 변환된 공간구조와 그 구조의 동학에 대한 다양한 형식의 실험들 자체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공간은 이처럼 유연한 변화의 가능성을 내포하는 것이기에 작가 역시 전시에서 실제 공간의 특성들을 여러 가지 과학적 실험을 통해 변환시키고, 다시 구성하고 배치하여, 다르지만 결국은 동일한 공간의 다른 형상들로 변형시켰던 것이다. 그런 면에서 (재)개발로 다양한 변모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논현동 밀집 지역은 작가의 이러한 관심에 부합하는 적당한 공간이 아니었다 싶다. 아울러 한국의 특정한 공간을 넘어 역동적인 변화로 조변석개하는 한국사회의 일정한 단면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풍경들이기도 할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들 신작들에 더해, 작가의 이전 작업과 연장선에 있는 작업도 있는데 이 지역의 거주자들이 먹는 식품들을 원룸과 비슷한 크기의 공간만큼 늘어놓고 이를 동 파이프와 아연판으로 연결하여 전지를 만든 작업이 그것이다.(‘편의한 공간의 공공연한 사실’) 예전 영국 유학시절의 작업에 비해 더 낮은 높이로 제작되었고, 구조물의 밑 부분을 녹색의 방수천으로 마감한다든지, 원룸 거주자들이 주로 먹는 식품들을 이용하여 장소 특정성들을 더한 이 작업들 역시 구체적인 공간의 맥락에서 작동하는 에너지의 변화가 중심축을 이룬다. 생활공간의 특성이 의사(과학) 실험과 장치들을 통해 다른 방식으로 변환되어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공간적 구조의 변화에 대한 실험만이 아닌 그 공간속에서의 삶의 방식과 패턴에 대한 이들 실험은 작가의 관심이 그저 과학적인(물리적이고 화학적인) 공간 변화의 차원에서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그러한 공간 속에서의 생활과 삶의 차원까지 포함되고 있음을 분명히 한다. 아니, 어쩌면 그러한 변화를 근본적으로 추동케 하는 동인動因이 결국 공간 속에서의 우리의 삶(의 변화들) 때문이라고 못내 이야기하려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글: 민병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