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kyung Jun Solo Exhibition: Confirm Humanity
-Closed on May 5th(Wed), 2021
-Organized / Presented by Alternative Space LOOP
-Sponsor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rts Council Korea
Bokyung Jun Solo Exhibition: Confirm Humanity
-Closed on May 5th(Wed), 2021
-Organized / Presented by Alternative Space LOOP
-Sponsor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rts Council Korea
전보경 개인전: 로봇이 아닙니다
-휴관: 2021년 5월 5일(수)
-주최/주관: 대안공간 루프
-후원: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An artificial person resembling a real human, newly coined the “robot”, was first introduced to the world in Rossum’s Universal Robots, when the play premiered at the National Theatre in Prague, Czech Republic in 1920. In the play, the scientist “Rossum” attempts to prove that God is useless by creating an advanced version of humans. The new life form invented by Rossum, called the “robots,” become mass produced and completely replace real humans in labor, war, and other fields. Freed from physical labor, humans begin to dream of paradise, but ultimately become obliterated by the more sophisticated robots that they created themselves. Today, after 100 years since its introduction, the “robot” imagined by Czech writer Karel Čapek enters a future beyond any imagination.
Artist Bokyung Jun explains, “In the current era of automation, we are no longer able to liberate ourselves from machines, because the position of both capitalists and laborers are overtaken by them.” Her solo exhibition, Confirm Humanity, stems from the following questions: “If robots were creat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repetitive manufacturing, what should humans pursue in life?,” “Could the inefficiency of humans translate into something extraordinary?” Over the years, the artist’s oeuvre has focused on discovering the aesthetic value in alienated human labor and the human body in labor. The barber, traditional confectionary baker, traditional puppeteer, and tailor, who appear in Lapis Philosophorum (2017) and The Gentleman’s Dignity (2018), are all craftsmen who work manually with their hands. These craftsmen, who continue to carry on their family enterprise over generations and for over 40 years, are all masters of their craft, but also a dying breed.
Bokyung Jun questions what human labor, and the physical movements of labor, signify in our contemporary society overtaken by machines. This exhibition explores “the relationships of the body-sense-technology-(non)productivity” by studying the movements of dance artists, in stark contrast to the uniform movements of robots used in productive labor.
Four dancers appear in the video, Zeros: Operation Errors. Their choreography (or movement) is based on the motions of robotic arms used in car factories. The artist first makes drawings by observing the robot’s movements, and creates a score from the drawings. The score is then given to the dancers, who produce their own choreography based on their personal impression. The robotic arm optimized for productive labor, becomes recreated into nonproductive human movements, such as line drawings and text.
Extending on Zeros: Operation Errors, the artist’s new video, I Swear, I Am Not a Robot, simplifies the motion of robots into arrows, which are then created into a set of physical movements. The movements are performed by four dancers, each using various joints of their body according to the length, direction, and rotation of the arrows. This work stems from the question, “Unlike robots that endlessly replicate and repeat their given codes, how do humans interpret given information?” The codes converted into arrows serve as a kind of a rule for the dancers, but each performs movements unique to their own imagination, body, and rhythm.
In this video performed by four dancers, the artist explores the double meaning of the word mooyong – which translates to useless, and also dance (the two are a homonym in Korean) – and the body. One expresses the uselessness of the human body that is no longer deemed productive in comparison to the mechanical and consistent robots, while the other reflects on the artistic and active expressions of the human body through dance. From Taylorism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fficient modes of production made possible by machines not only overtook and standardized the human body, but ironically, also rendered it lifeless. As demonstrated in the work, humans are incapable of executing their given framework with exact precision. They become offbeat, and as a result, malfunction. Jun examines the body, which destroys order and propels forward toward its subjectivity unlike robots, and defines it as “human sense.” The artist juxtaposes the movements of this useless/dancing body with her text Prove Yourself, presented in a mechanical arrangement to propose a new kind of rhythm that merges the machine and human into a hybrid. Another video, Head, Shoulders, Knee and Toes, is a score which converts the 6-axis movement (rotational, vertical, horizontal) of the robotic arm into arrows. The score in this video is identical to the one given to the dancers in I Swear, I Am Not a Robot. The text, presented on four sheets of A4 paper, explains how each dancer interpreted the arrows in their own way.
In Rossum’s Universal Robots, the chemical matter invented by the scientist Rossum and his son was intended to create a “new life form designed to obey humans unconditionally and perform physical labor in their place.” Humans were to reign as the capitalist, and grueling physical labor was to be substituted by the robots. The key difference between humans and robots was “emotion,” but once the robots were instilled with emotion, they gradually begin to reject work. Equipped with emotion and now loathing labor, the robots begin to kill their human commanders one by one, and ultimately take over the world. In the end, they only spare the life of “Alquist,” an architect who becomes the last surviving human. The machines, though originally devised to liberate humans, are evolving into a life form beyond the limits of humans today. If so, what will be the value of humans in the future?
Written by Sun Mi Lee
Translated by Nayoung Cho
Bokyung Jun(b.1979)
Bokyung Jun majored in Painting at Ewha Womans University. She earned her MFAs in Digital Media from the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and in New Form from the Pratt Institute. She received her PhD in Painting from Ewha Womans University. Notable solo exhibitions include Sonnet Not Written Yet (Soorim Art Center, 2020), Again, We Will Go Into the Darkness (Taipei Treasure Hill, 2019), and Lapis Philosophorum (Art Space Hue, 2018). Group exhibitions include Ambiguous Murmur But a Shining Microcosm (Danwon Art Museum, 2020), Stereo Vision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2020), Study of Social Sculpture (Amado Art Space, 2019), Beyond the Making (Wooran Foundation, 2019), and Unused Space Project (SeMA, Buk Seoul Museum of Art, 2017). Jun also participated in various residency programs at Seoul Art Space Geumcheo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oyang, Incheon Art Platform, TEMI Artist Residency, Taipei Artist Village (Taiwan), and Proyecto ‘ace Buenos Aires (Argentina).
Choreography: Heyjin Shin
Performance: Heyjin Shin, Minjin Lee, Chaemin Jeong, Boram Jun
1920년 체코의 프라하 국립극장에서 첫 선을 보인 연극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에는 인간을 닮은 인조인간 ‘로봇’이 세상에 처음 등장한다. 극 중 과학자 ‘로숨’은 개선된 인류를 창조해 신의 무용함을 증명하고자 한다. 로숨에 의해 탄생된 새로운 생명체 ‘로봇’은 대량 생산되어 노동, 전쟁 등 인간의 노동력을 완전히 대체한다. 신체의 노동으로부터 해방된 인류는 낙원을 꿈꿨지만 결국 스스로 만들어낸 진화된 로봇에 의해 멸망한다. 체코의 문학가 카렐 차페크에 의해 탄생된 ‘로봇’은 100년이 지난 현재, 상상 이상의 미래와 마주하고 있다.
전보경은 ‘자동화 시대를 사는 우리는 자본가, 노동자 모두 기계에 점유되어 기계로부터 해방은 불가능해졌다’고 말한다. 개인전 ‹로봇이 아닙니다›는 ‘로봇이 반복 생산이라는 효율적 활동을 극대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면, 인간은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것일까? 오히려 인간의 비효율성이 특별한 무엇이 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됐다. 작가는 인간의 소외된 노동과 노동을 위한 신체에서 미적 가치를 찾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현자의 돌, 2017›, ‹신사의 품격, 2018› 등에 등장하는 이발사, 전통과자 제과사, 전통 인형극사, 양장사는 신체의 노동, 손을 사용하는 수공인이다. 2대에 걸쳐, 혹은 40년 이상 가업으로 이어오고 있는 이들의 노동은 장인인 동시에 이제는 사라져가는 직업군이기도 하다.
전보경은 기계에 의해 점유된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노동과 노동을 위한 신체의 움직임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질문한다. 이번 전시는 생산적 노동을 위한 로봇의 일률적인 움직임과 그에 절대적으로 대비되는 무용가들의 신체를 이용한 ‘신체-감각-기술-(비)생산적 차원의 관계’ 연구이다.
영상 작업 ‹Zeros: 오류의 동작›에는 4명의 무용가가 등장한다. 이들의 춤(혹은 움직임)은 자동차 생산공장에서 사용되는 로봇팔의 움직임을 기초로 한다. 작가는 로봇의 움직임을 관찰해 드로잉 한 후 그 드로잉을 무보(舞譜/score)로 제작한다. 무보를 전달받은 무용가들은 각자의 감각으로 안무를 구성한다. 생산적 노동에 최적화된 로봇팔은 곡선 드로잉, 직선 드로잉, 텍스트 등 인간의 비생산적인 움직임으로 재탄생된다.
신작 ‹I Swear, I Am Not a Robot›은 ‹Zeros: 오류의 동작›의 연작으로 로봇의 생산 움직임을 화살표로 단순화시킨 후 4명의 무용가가 각 화살표의 길이, 뱡향, 회전에 따라 자신의 신체 관절을 이용해 규칙적인 움직임을 만든 영상 작업이다. 이 작업은 ‘주어진 코드를 무한하게 복사해 일률적으로 반복 행위하는 로봇과 달리 인간은 주어진 정보를 어떻게 해석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됐다. 화살표로 짜여진 코드는 각 무용가에겐 하나의 규칙이 되지만, 그 규칙들은 무용가 저마다의 상상력과 신체, 리듬에 따라 독자적인 움직임을 생성하게 된다.
전보경은 4명의 무용가의 안무로 짜여진 이 영상 작업에 ‘무용한 신체’라는 복수의 의미를 부여한다. 하나는 기계적이고 일률적인 로봇에 비해 더 이상 생산적이지 못한 인간의 무용(無用/useless) 함, 또 하나는 능동적인 몸짓으로 예술하는 인간의 무용(舞踊/dance)함이다. 기계를 이용한 효율적인 생산은 테일러리즘부터 4차 산업혁명에 이르기까지 역으로 인간의 신체를 지배하고 획일화시켰으며, 역설적으로 무기력하게 만들었다. 인간은 작업 속 영상과 같이 주어진 틀을 정확히 수행하지 못하고 엇박자를 생성하며, 이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한다. 전보경은 로봇과 다르게 질서를 파괴시키고 주체적인 위치로 나아가게 하는 신체를 ‘인간의 감각’으로 본다. 작가는 무용한 신체의 움직임에 기계적으로 나열되는 텍스트 작업 ‹Prove Yourself›를 병치시켜 기계와 인간이 혼종 된 새로운 리듬을 제시한다. 영상 설치작업 ‹머리, 어깨, 무릎, 발› 은 로봇팔이 6개의 축으로 만들어낸 움직임(회전, 좌우, 상하)을 화살표로 변환시킨 무보이다. 영상 속 무보는 ‹I Swear, I Am Not a Robot›에서 무용가들에게 주어진 것과 동일하다. 함께 설치된 4개의 A4 용지 텍스트에는 각 무용가가 자신의 방법으로 화살표를 어떻게 해석했는지 적혀있다.
연극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의 과학자 로숨과 그의 아들이 발명한 화학물질은 ‘인간에게 무조건 복종하고 모든 육체적 노동을 대신해줄 새로운 생명체’였다. 인간은 자본가여야 했고, 모든 고된 노동은 노예화된 로봇이 대신하게 했다. 인간과 로봇의 특정된 차이는 ‘감정’이었는데, 로봇에게 감정을 주입하자 그들은 점점 노동을 거부한다. 노동을 싫어하게 된, 감정이 있는 이 로봇들은 명령자 인간을 하나, 둘 죽이고 결국 세계를 정복한다. 로봇들은 노동하는 단 한 명의 인간 ‘건축가 알귀스트’만 유일하게 살려둔다. 인간의 해방을 위해 고안된 기계는 현재 인간 이상의 생명체로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 인간은 어떤 가치를 가질 수 있을까.
글: 이선미
전보경(b. 1979)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에서 디지털 미디어와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뉴폼으로 석사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서양화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아직 쓰여지지 않은 소곡, 수림아트센터, 2020›, ‹Again, We Will Go Into the Darkness, 트레져힐 아티스트 빌리지, 2019›, ‹현자의 돌, 아트스페이스 휴, 2018› 등이 있으며, ‹모호하지만 빛나는 소우주, 단원미술관, 2020›, ‹스테레오비젼, 서소문 성지역사 박물관, 2020›, ‹사회적 조각을 위한 방법 연구, 아마도 예술공간, 2019›, ‹전환상상, 우란문화재단, 2019›, ‹유휴공간프로젝트,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 2017›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금천예술공장, 국립현대미술관 고양, 인천아트플랫폼, 테미예술창작센터, 대만 타이페이 아티스트 빌리지, 아르헨티나 프로젝토 에이스 피랄 등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입주작가로 활동했다.
안무: 신혜진
퍼포먼스: 신혜진, 이민진, 전보람, 정채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