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 yeon Kim Solo Exhibition: Greeting
Si yeon Kim Solo Exhibition: Greeting
김시연 개인전: 인사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에코 챔버: 사운드 이펙트 서울 2019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Download flyer

- Opening 1
6pm Nov 7th 2019 (Thu), Alt Space LOOP
Opening Performances: Wolfgang Spahn

- Opening 2
6pm Nov 9th 2019 (Sat), Studio Doksan
Opening Performances: Byungjun Kwon, Hojun Song

- Artist Talk
Thomas Bégin
7pm Nov 20th 2019 (Wed), Alt Space LOOP

- Artists: Byungjun Kwon, Wolfgang Spahn, Thomas Bégin, Howling, Hwaum Chamber Orchestra, Sangwoo Kang, Lewis Kaye, Takuji Kogo, Byungchan Lee, Sei Rhee, Hojun Song, Akihiko Taniguchi
- Directors: Baruch Gottlieb, Ji Yoon Yang

- Venue: Alt Space LOOP, Studio Doksan, Archive Bomm
- Presented, Organized by Sound Arts Korea
- Sponsored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Goethe Institut, Canada Arts Council

Exhibitions
- Oct 24th – Nov 14th 2019 Archive Bomm: Sei Rhee

- Nov 7th – Nov 30th 2019 Alt Space LOOP: Wolfgang Spahn, Thomas Bégin, Takuji Kogo, Akihiko Taniguchi, Byungchan Lee

- 12:00-18:00 Nov 12th – Nov 23th 2019 Studio Doksan: Byungjun Kwon, Sangwoo Kang, Lewis Kaye, Byungchan Lee, Hojun Song

Live Event 1
6:30 pm Nov 9th(Sat) Studio Doksan: Byungjun Kwon, Hojun Song

Live Event 2
5:30 pm Nov 16th (Sat) Studio Doksan: Byungjun Kwon, Byungchan Lee, Howling

Live Event 3
Hwaum Chamber Orchestra
7PM Nov 29th(Fri)
3PM Nov 30th(Sat)
Alt Space LOOP

Sound Arts Korea
Directors: Baruch Gottlieb, Ji Yoon Yang
Project Manager: Sun Mi Lee, Doosung Moon
Coordinator: Jihye Pi
Media Design: Nara Shin
Design: Dohyung Kim
Assistant: Min Kyung Cho
http://sfxseoul.org

에코 챔버: 사운드 이펙트 서울 2019

SFX 리플렛 보기

-오프닝 1
2019년 11월 07일(목) 오후 6시, 대안공간 루프
오프닝 퍼포먼스: 볼프강 슈판

-오프닝 2
2019년 11월 9일(토) 오후 6시, 스튜디오 독산(서울 금천구 범안로21길 17 금천빌딩 4층)
오프닝 퍼포먼스: 권병준, 송호준

-아티스트 토크
토마스 베정
2019년 11월 20일(수) 저녁 7시 , 대안공간 루프

-참여 작가: 강상우, 권병준, 토마스 베정, 송호준, 볼프강 슈판, 이병찬, 이세옥, 루이스 케이, 타쿠지 코고, 아키히코 타니구치, 하울링(Azoozy, 배인숙, 윤수희), 화음챔버오케스트라
-예술감독: 바루흐 고틀립, 양지윤

-장소: 대안공간 루프, 스튜디오 독산, 아카이브 봄
-주최, 주관: 사운드 아트 코리아
-후원: 서울문화재단, 주한독일문화원, 캐나다아트카운슬
-협찬: 맥파이 브루잉 컴퍼니

전시
-대안공간 루프
2019년 11월 7일 - 11월 30일
아티스트: 토마스 베정, 볼프강 슈판, 아키히코 타니구치, 타쿠지 코고, 이병찬

-스튜디오 독산
2019년 11월 12일 - 11월 23일
날짜 / 시간: 화요일-토요일 / 오후12시부터 오후6시
아티스트: 루이스 케이, 이병찬, 권병준, 강상우, 송호준

-아카이브 봄
2019년 10월 24일 – 11월 14일
아티스트: 이세옥

라이브 이벤트 1
장소: 스튜디오 독산
시간: 2019년 11월 9일(토) 오후 6시 30분 부터

프로그램
권병준, 싸구려 인조인간의 노랫말 2: 연기, 바람, 그리고 낚시
송호준, 압축하지마+ On Off Everything (DJ 전용현)

라이브 이벤트 2
장소: 스튜디오 독산
시간: 2019년 11월 16일(토) 오후 5시 30분 부터

프로그램
5시 30분 : 이병찬, 사라진 양말
6시 30분, 7시: 권병준, 싸구려 인조인간의 노랫말 2: 연기, 바람, 그리고 낚시
8시: 하울링(Azoozy, 배인숙, 윤수희)

권병준 퍼포먼스 ‹싸구려 인조인간의 노랫말 2- 연기, 바람, 그리고 낚시› 사전예약 링크(1회당 선착순 50명 정원)
https://forms.gle/2oGXrKTnQnoWh6oMA

라이브 이벤트 3
화음 챔버 오케스트라
장소: 대안공간 루프
시간: 11월 29일(금) 저녁 7시, 11월 30일(토) 오후3시

사운드 아트 코리아
디렉터: 바루흐 고틀립, 양지윤
프로젝트 매니저: 이선미, 문두성
코디네이터: 피지혜
미디어 디자인: 신나라
디자인: 김도형
어시스턴트: 조민경
http://sfxseoul.org

Sound Effects Seoul 2019, the 6th edition and 12th year of Korea’s first festival of sound art, presents this edition’s theme: “Echo Chamber”. Besides being an acoustic phenomena which also accurately describes the properties of the concrete exhibition spaces at its headquarters Alternative Space LOOP in Hongdae, “Echo Chamber” is currently used metaphorically to describe a condition where certain ideas, beliefs or data points are reinforced through repetition in a social system. In such an echo chamber, certain ideas or positions come to dominance due to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properties of the space, where the ideas continue to resonate much longer than they would have in the open.   

In Korea, as all over the world, social intercourse is increasingly overdetermined with a “partisan mentality.” People respond to the information that aligns with their prejudices and become irritated by that which represents conflicting ideas or constituencies. The environment of digital networked communication bolsters the tendency towards confirmation bias and generally coalesces and conforms participation into “grand monologues.”

Echo Chamber refers to an enclosed space designed to produce reverberation. Since the 2000s, the term is also used to describe situations where information is specifically filtered and provided based on user preference on social media and other platforms. The Internet was promoted as “democratic” in the sense that individual dispositions were to be represented with equal importance. However, what had the potential to be a commons has been completely enclosed by the same extractive logics which preceded our age and has become merely a network of commercial platforms which generate profits through “personalized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s” and other innovative marketing strategies. The platform becomes an echo chamber where we are swirled in messages which reflect our own concepts, generating a precarious and nervous excitement on the edge of a precipice of which is concomitant and build up fear and mistrust of the other and of the unknown.

The participating artists for Sound Effects Seoul 2019 present works which explore resonance, reverberation, repetition and memory as well as self-reflectivity, confirmation bias and fake news. This edition’s invited artists will exploit sound art’s particular propensities and potential for temporal layering and synaesthetic immersiveness to produce evocative environments where current concerns about loss of critical distance, individual agency and social resilience are reflected and reconsidered. The negative space of the echo chamber acts as a psychic mirror where appearance and reality seem to merge. At Seoul Effects Seoul 2019 Echo Chamber we explore the intimate relation between the hypnotizing, anaesthetizing and hyperbolizing effects of media against the intractably local particularities of constructed space and the people who live and move in them.

The festival takes place simultaneously at Studio Doksan, Alternative Space Loop and archive bomm. Located in the Geumcheon District of Seoul, Studio Doksan is an “Urban Regeneration Space” where a slaughterhouse once stood up until the early 2000s. An essential facility of the modern metropolis, but often banished to the edges of the city and of the consciousness of its citizen, the slaughterhouse might also be said to function as an echo chamber, providing the shadow of mortality to the blazing light of our science. The participating artists project into the three spaces, with sounds which can help us navigate our resonant condition, rich with paradox.

Artists

Kang Sangwoo
Women’s transformation is innocent
The three-dimensional installation work borrows images of 1980s advertisements, which portray a new modern image of women proud and independent despite the oppressive conditions they had to live under, exposing social values of the time when these images were made. In 2017 women’s fashion referenced the style and spirit of the 80’s woman, with a historical perspective interrogating women’s social positions and relationships then and now. This installation references kitchen interiors from the 70s and evokes the reality of traditional women behind the illusion of ‘desexualized and confident image of a modern woman’.

Kang Sangwoo’s work starts with certain fantastic images and anecdotes from my memory. In the world of my work, fantasy is a mirror reflection of reality. I try to see how fantastic images and experiences correspond to or are transformed by reality as I examine the asynchrony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These inquiries are develped employing stereoscopic, installation, painting and drawings of a popular propaganda TV animation series from 1978, “Tori Janggun”, made to enhance children’s patriotism and anti-communism.

Byungjun Kwon
Lyrics of Cheap Androids 2: Smoke, wind and fishing
The movements of the robots are elaborated through the sounds and shadowy play of their lights which unfolds as they move and illuminate each other. With the sound of the camera shutter, an image is shared with the network, at the same time, smoke is triggered, spreading in the air and gradually taking over the space. Along with the smoke, the space is filled with ambiguity and the attractive movements of the two robots on the cranes taking pictures. Smoke is added to the space in proportion to activity on SNS. The robots slowly disappear and only dance with light and sound.


ByungJun Kwon (born 1971) had his first artistic success as a singer-songwriter in the early 1990s. Today, Kwon’s oeuvre encompasses his six music albums with genres ranging from alternative rock to minimal house, as well as musical sonic interventions and performances, movie soundtracks, theatre, fashion shows and modern dance. He spent the late 2000s in the Netherlands studying sonology and working as a hardware engineer at STEIM, a research center for new musical instruments in the electronic performing arts. Since returning to Korea in 2011, he has developed a certain niche in contemporary (visual) art of employing his characteristic sound and media.

Thomas Bégin
Pareidolic Cymbals
Pareidolic cymbals is a project that is part of a research on sound composition by accumulation of different types of noise. My aim is to use diffused sound materials which by means of superpositions of frequencies, rhythmic phase shifts and acoustic interferences, allow the emergence of a liminal space in which noise and structured sounds oscillate from one to another.
In this specific project I use the cymbal’s ability to saturate a wide range of the sound spectrum, like a bell, in order to produce noises which are “coloured” by dominant frequencies.
The installation, which is made of motors, modified cymbals and electro-magnets, produces blurred sound structures that are closer to sound illusions than to phrased musical compositions. I call this composition mode “pareidolic composition”, pareideolia being the perceptual phenomenon taking place when the brain interprets vague but suggestive stimuli as a familiar form. Like the shapes that can be recognized by looking at the clouds, Pareidolic cymbals produces formless sound which promote a subjective recognition of pattern, confronting the listener with the echo of what he already knows.

Both in his installations and performances, Bégin brilliantly combines the goals of scientist who aspires to the realization of these, to the playful overflow of the artist who can get lost in the maze of creation but who also aspires to an exemplary finality of the work. Multidisciplinary artist, he wonders and distorts by minimizing the active ingredients in the sciences that study meticulously. he offers his own theorems in fields such as mechanics and optics to ultimately develop its own cybernetic and art.

Hojun Song
On Off Everything
Dozens of electrical outlets periodically cycle in and out of electricity. Anyone can bring their own electronics to be connected into the apparatus. No matter how periodic the electricity i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s brought will cause them to turn on and off slightly differently.

Hojun Song’s work is about making narratives and bringing questions by making absurd objects like radiation jewelry and the strongest weapon in the world. In 2013, he launched his own small satellite in Kasachstan, Baikonur. His satellite project encompasses from D.I.Y. engineering to T shirts selling to challenge the stereotypical preconception of space program but failed. Naturally, his recent work deals with ironical relationship between romanticism and deconstructionism, especially how society make heroes, by referring new trends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embrace uncertainties.
He shares his work and its process to be functional in the society by employing live streaming, sound performance, mass production, and hard core engineering and tries to seek humorous ways to question conventional thoughts on art, design and technology while linking those to our daily issues.

Wolfgang Spahn
Echo State Network, 2019

Can we hear neurons firing? Does their action potential have pitch and timbre? How do patterns and structures of a neural network look and sound? At the core of Wolfgang Spahn’s installation “Echo State Network” is an analog neural network that modulates sound and light feedback. Spahn has built his analog electronic neurons directly on the basis of models of neurons used in neuroscience. Of course, Spahn’s neurons are much larger than the neurons in your body, but the components he uses, capacitor, resistor, transistor correspond directly to the structure of anatomical neurons and how they store, process and transmit electronic information in bodies.

This completely analog system uses the neural signal to trigger home-made analog synthesizer modules and light objects. Unlike digital systems where the computers simulate neuronal behaviour from mathematical models, Spahn’s network is alive processing signal directly, likewise the sound and light effects are produced directly as part of the system. For SFX, Spahn has built an “Echo State Network”. The input layer of that network will has sound and light sensors that react to brightness and particular frequencies. This information is processed in the neural network and then output through a layer of firing neurons. What happens when a living network listens and sees itself in sounds and patterns?

Wolfgang Spahn is an Austrian-German visual artist based in Berlin. His work includes interactive installations, miniature-slide-paintings and performances of light & sound. His art explores the field of analogue and digital media and focusses on both their contradiction and their correlation. That’s why he is also specialized in re-appropriated and re-purposed electronic technologies. Spahn teaches at the Professional Association of Visual Artists in Berlin (BBK-Berlin) and is associated lecturer at the Hof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He was lecturer at the Berlin University of the Arts, University of Paderborn, department of media studies as well as at the University of Oldenburg, department of art and visual culture.

Lee Byungchan
Creature 2019
Missing Socks 2019
This performative work explains distortions of mass in the indeterminate,missing economic figure of cheap socks, warping time and space as it does the lost experience of the price. It has a molecular structure, where a swing exhibits the destabilizing experience of temporary loss of gravity. Lighting devices evoke the redshift phenomenon, with reflective film performing the distortion of mass, and curtain movements manifesting the unstable air pressure.

In the performance The metronome sound intersects the space, making the time unstable with irregular beats. Brass instruments, played in time with crossed beats, produce various wavelengths in the atmosphere. The brass waves, the red shifts of the swings, and the metronome sound perform the indeterminate and unstable flow of capital and irregular movement of mass which cannot escape a particular space.

Lee Byungchan (b.1987) has consistently paid attention to the ecosystem of capital. Lee’s practice consists of plastic creatures, investigating into fluctuating phenomena caused by capitalistic obsession with objects and transforming mass of urban environments into time. Visualising the intangible material—capital, he constructs certain paces and spaces by adopting his experiences of capitalistic energy driven into newly-developed cities.

Sei Rhee
He studied at Sogang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MIT Art, Culture and Technology. Films were screened at Cinema Digital Seoul (CinDi), Seoul International Experimental Film Festival (Exis), Busan Asian Short Film Festival (Bisff), and Seoul New Media Festival (Nemaf). His works were introduced in exhibitions including Culture Station Seoul 284, Countdown, Nam June Paik Art Center, X-Sound, Random Access, and MIT’s Unbound: Speculations on the Future of the Book. He also worked as a researcher at AT-Lab,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Lewis Kaye
Transposition, multi-channel site-specific audio installation, 2019
I grew up in Toronto, Canada, in a neighbourhood called The Junction. My home was just across the railway from the The Stockyards, an area home to cattle pens, livestock trading companies, and abattoirs that had been in continual operation since the early 1900s. As a child, I played ice hockey in the arena just next to the Maple Leaf poultry processing plant. As a young teen, I would bicycle with my friends around the factories and animal pens. I literally grew up with the sights, the smells, and most importantly the sounds of this industrial activity.

This area, however, has changed a great deal since I was a child.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orces of gentrification have worked to push much of this activity out of the city. Today, new retail and residential properties occupy the spaces where cattle pens and rendering plants used to stand. It is not surprising, then, that the sound of the area has changed dramatically from what I remember as a child. There are far more cars than trucks, for example, and the sounds of livestock have completely vanished. But industrial activity can be a tenacious presence on the land. The railway’s presence continues to dominate, and to this day there are several meatpacking and processing factories still in operation. These competing activities, and the sounds they give rise to, coexist in an uneasy tension with the newer activities and residents. But coexist they do, and by doing so they combine to provide an aurality that not only harkens back to Toronto’s former identity as “Hogtown” but represents a model of how urban space can develop and yet still encompass a diverse range of human activity.

The piece I am creating for this year’s SFX Seoul, Transposition, responds to the imminent gentrification of Seoul’s own meatpacking district by superimposing the current aurality of Toronto’s Stockyards over that of Seoul’s. Field recordings of both districts will be blended together and presented to gallery goers with the goal of having them hear and reflect upon the way a city’s soundscape both embodies its politics and economy as well as serves as an important marker of social and cultural change. Urban gentrification and transformation is a process that can be heard. But what it tells us we must decide for ourselves…

Lewis Kaye is a Toronto-based sound artist, media sciences researcher, and educator fascinated with the interplay between sound, technology and culture. His work often explores, adapts and transforms recordings of various sound environments, with recent projects experimenting with the remediation of sound and audiovisual archives. Often collaborating with other visual or performance artists, his output finds many forms of expression including media installation, theater, audio CD, 5.1 surround sound video and live 2-channel and multichannel performance. Major works include the curatorial project Hearing Video for Vtape (Toronto, 2018), Crowds ReSpaced (Signalraum Gallery, Munich, 2014) and the McLuhan-themed Through The Vanishing Point (CONTACT Photography Festival, 2010 and McLuhan in Europe Festival, 2011). Lewis holds a PhD in Communication and Culture from York and Ryerson Universities, and teaches on sound studies, media studies and digital culture at several universities around Toronto.

Takuji Kogo

My Life Is Not Your Porn, video, sound, 5’ 30”, 2019

Animated protest slogans against hidden spy cameras and sexual harassment at Seoul in 2018.
Takuji Kogo has been producing a series of music, video and sound installations with fragments of information, multi linguistic text animations, original music made with the found materials sung by synthetic voices, such as scam messages, personal ads for online dating sites, propaganda posters, street signs.

Takuji Kogo is a visual artist, director for the Kitakyushu Biennial and organizer for *CANDY FACTORY PROJECTS, a Japanese based platform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ve art projects. Kogo has produced a large body of work both as a solo artist and in collaborations under *CANDY FACTORY PROJECTS and have been presented them at Media Scope-MoMA/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Seoul Museum of Art, MAAP Multimedia Art Asian Pacific Nam June Paik Art Centre Seoul, and Tokyo Metropolitan Museum of Photography.

Akihiko Taniguchi
Something Similar to Me is an essay / poem about the Seeing and Identity in new visual media age, the age of 3D scanning. Two identical avatars of TANIGUCHI himself made using a 3D scanner—as the artist’s “alter egos” of sorts—are placed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Surrounded by objects reproduced from 3D scans of things from the artist’s daily life environment, the avatars move around progressing along several texts on the subject of “seeing.”

About Seeing Things
Seeing things necessarily involves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objects we look at, whereas the selection of targets (or better, the selection of things to exclude) is certainly based in part on data accumulated through our past experiences. The creation of models and textures through 3D scanning, a technology that has become quite easily accessible in recent years, requires large amounts of data obtained by scanning objects at different times and from different angles. Likewise, the act of “seeing” that appears to be a matter of seconds is in fact a phenomenon that involves accumulations of multiple moments in time.


Akihiko Taniguchi
Using self-built devices and software, Taniguchi has been creating works in a variety of formats in the realms of media art, net art, live performance, video and sculpture among others. Together with WATANABE Tomoya, he is also active as a member of the “Omoide Yokocho Academy of Media Arts and Sciences (OAMAS)” exploring the art form of media art in theory and practice. Main exhibitions include [Internet Art Future]: Reality in Post Internet Era, ICC, Tokyo, 2012; objects thinking too much, Iidabashi Bunmei, Tokyo, 2013; Open Space 2014, ICC, Tokyo, 2014, etc.

Howling
Insook Bae has worked with sound interactions, sound devices and everyday sounds. She pays attention to the sounds generated from everyday objects and think that original sound represent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perties of things. Since 2013, she has been operating Howling Live that electronic music, experimental music, and sound performance in various spaces.

Hwaum Chamber Orchestra
The Hwaum Chamber Orchestra was founded in March 1996 in Seoul, Korea. The orchestra, based on the “Ensemble Hwaum”, had already received great responses through their concerts, expanded then to a chamber orchestra with focus on string instruments. For over 20 years, the orchestra has developed passionate and unique sounds and a fair group culture, and made themselves a name as a chamber orchestra. With the self-developed “Hwaum Project”, the orchestra was able to systemize the contents of their performance programs, continuously update the repertoire and expand various formations of wind- and percussion instruments as well as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In addition, with continued partnerships with business through shared values, the Hwaum Chamber Orchestra has become a role model in the world of Korean music and has received much attention for their artistic and public role in music.

‘에코 챔버 Echo Chamber’는 인공적으로 소리의 잔향감을 만드는 공간을 뜻한다. 2000년 이후, 이 용어는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인터넷 이용자가 선호하는 정보를 필터링하여 먼저 제공하는 상황에도 쓰이게 되었다. 구글, 페이스북, 유튜브 등의 이용자에 대한 인터넷 검색 내용, 구매 내역, 위치 경로와 동석자 등과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개별 이용자가 좋아하는 ‘개인 맞춤형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뉴스 콘텐츠로 제공한다. 이런 서비스는 이용자가 좋아할 것으로 추청되는 필터링된 정보만이 마치 사실인 것처럼 이용자에게 전달되며, 결국 이용자를 각자의 거품 버블 안에 가둬 버린다.

디지털 미디어는 개개인의 성향을 존중하는 ‘민주화’된 미디어라 여겨진다. 하지만 ‘개인 맞춤형 콘텐츠 추천 시스템’은 클릭수, 광고, 조회수를 높이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나온 마케팅 전략의 결과에 좀더 가깝다. 자본의 논리는 결국 내 목소리가 무엇이었는지, 내 관점이 무엇인지를 고민할 생각마저 잃어버리게 한다. 일상이 된 디지털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에코 챔버는 인간의 확증 편향의 본능을 극단화하여, 우리 모두를 ‘진영 논리’와 ‘실제적 독백 상태’에 빠트린다.

‹에코 챔버: 사운드이펙트서울 2019›의 참여 아티스트는 공명, 잔향, 반복, 기억, 자기 반사, 확인 편향과 가짜 뉴스를 탐구하는 사운드 작업을 소개한다. 이들의 작업은 비평적 거리가 사라진 지금의 상황에 대한 우려와 개인이라는 주체와 사회와의 탄력적 관계를 반영하여 재검토한다. 이를 위해 사운드 아트 만의 매체적 특성을 사용한 시간적 레이어링과 공감각적 몰입을 위한 예술적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축제는 ‘에코 챔버’가 가질 수밖에 없는 네거티브 공간인 인간 자신의 모습과 현실이 합쳐지는 듯한 심리적 거울의 방으로 역할한다.

스튜디오 독산, 대안공간 루프, 아카이브 봄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스튜디오 독산은 2000년대 초까지 도축장이 위치했던 독산동 우시장에 위치한 금천구의 ‘도시재생공간’이다. 식생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지만 모두들 대면하기는 꺼려하는 도축의 공간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지만 그 존재를 인지하기는 꺼려하는 에코 챔버와 닮아 있다. 세 공간은 에코 챔버라는 주제를 음향적으로 재현하고, 에코 챔버가 불편함을 함께 인지하는 공간이다. 참여 예술가와 관객은 성급한 정치적 해결책을 착으려하기보다는, 함께 지금의 상황을 되새기며 에코 챔버 너머의 소리와 그 가능성을 실험한다.

참여작가와 작품 소개

강상우
女子의 變身은 無罪 (여자의 변신은 무죄) 시리즈
1980년대 TV광고들 속에서 발견된 환상적 여성상과 그와 배치되는 억압적 현실들에 주목하고 해당 광고의 이미지들을 차용한 입체, 설치 작업들을 통해 당당하고 독립적인 여성상을 호소하는 움직임, 그리고 반대로 그것을 위축시켰던 당시의 사회적 단상들에 관해 다룬다.

2017년에 진행했던 80년대 여성정장 파트 1의 후속 작업들로 파트 1이 주로 80년대 여성패션에 관한 시각 이미지들의 조형적 해석에 천착했다면 본 작업들은 해당 소재를 보다 외부적, 시대적인 관점으로 돌려 당시의 여성 패션을 넘어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관계 등을 조망한다. 70년대 보급된 주방인테리어를 참고한 전시 설치로 ‘중성적이고 당당한 여성 이미지’라는 환상의 이면에 드리워진 전통적 여성의 현실성을 암시하도록 구성되었다.

작가 노트에서
나의 작업은 기억 속의 특정한 환상적 이미지와 일화들을 다룬다. 내 작업세계 속에서 환상은 현실의 이면을 되비추는 거울이라고 가정한다. 이를 통해 환상적 이미지와 경험들이 현실 속에서 어떻게 대응하거나 변형되는지 관찰하고 실제와 환상이 벌이는 각축상태를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탐구는 TV 시트콤, 아동심리 프로그램, 똘이장군, 조립식 장난감의 추억 등을 소재로 입체, 설치, 페인팅, 드로잉의 방법으로 작업화 된다. 나는 유소년기의 수많은 기억 속의 환상적 요소들을 주요 소재로 한 작업들을 통하여 환상적 이미지와 경험들이 어떻게 현실과 관계를 맺는지에 관해 질문하고 반응하고자 한다.

권병준
싸구려 인조인간의 노랫말 2- 연기, 바람, 그리고 낚시, 설치, 퍼포먼스, 2019
로봇들의 움직임은 소리로 증폭되고 서로를 비추는 세밀한 빛의 그림자 놀이가 펼쳐진다. 카메라의 셔터 소리와 함께 이 모습은 네트워크에 공유되어 지고 동시에 연기가 트리거되어 바람과 함께 퍼지며 점점 희뿌옇게 공간을 장악한다. 연기와 함께 공간은 모호함으로 가득차고 크레인에 타고 있는 두 로봇의 매력적인 움직임에 관객들은 사진을 찍고, SNS에 올라가는 카운트에 비례하여 연기가 더해지게 되며 공간에 가득차게 된다. 이후 로봇들의 모습은 사라지고 빛과 소리만 남아 춤을 춘다.

권병준은 2000년대부터 영화 사운드 트랙, 패션쇼, 무용, 연극, 국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음악작업을 해왔다. 2005년부터는 네덜란드에서 거주하며, 소리학(Sonology)과 예술&과학(Art & Science)을 공부한 후 전자악기 연구개발 기관인 스타임STEIM에서 공연과 사운드 등에 관한 실험적 장치를 연구, 개발하는 하드웨어 엔지니어로 일했다. 2011년 귀국한 이후, 새로운 악기, 무대장치를 개발, 활용하여 음악, 연극, 미술을 아우르는 뉴미디어 퍼포먼스를 기획 연출하였고 하드웨어 연구자이자 사운드를 근간으로 하는 미디어 아티스트로 활동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토마스 베정
환각의 심벌즈, 2019
다양한 유형의 소음을 축적하여 사운드 구성을 연구한 프로젝트다. 주파수의 중첩, 리드미컬하고 주기적인 파동의 변화, 음향의 간섭을 통해 소음과 구조화된 사운드를 만들고, 경계가 오묘한 리미널한 공간을 만들어내는 사운드 재료를 사용한다. 이번 작업에서는 주요 주파수에 의해 “컬러링”된 노이즈를 생성하기 위해 종(Bell)처럼 넓은 범위의 사운드 스펙트럼을 포화시키는 심벌즈의 기능을 사용한다. 모터로 변형 된 심벌와 전자석으로 제작된 작업은 표현된 음악적 구성보다 음향 착시에 더 가까운 흐릿한 사운드 구조를 생성한다. 나는 이 작업을 ‘파레이돌리아 작곡’이라고 부른다. 파레이돌리아는 뇌가 모호하지만 암시적인 자극을 친숙한 형태로 해석할 때 일어나는 지각 현상이다. 구름을 보고 모양을 알 수 있듯이, ‹환각의 심벌즈›는 형식 없는 소리를 만들어내며, 이는 이미 알고 있는 것의 메아리로 대립하면서 패턴의 주관적인 인식을 촉진시킨다.

토마스 베정은 과학자들이 목표로 여기는 부분과 창조라는 미로 안에서 혼란스러워 하는 예술가들 사이의 장난스러운 조합을 보여준다. 그는 예술가로서 다양한 예술의 형태를 다루며, 과학을 접목시켜 변형, 왜곡시킨다. 역학 및 광학 분야에서도 자신의 이론을 제시하며 궁극적으로 자체 사이버네틱과 예술을 개발한다.

송호준
On Off Everything, 가변사이즈, 전기, 전자 접촉기, AC 플러그, PLC, 2019 
주기적으로 전기가 들어왔다 나갔다를 반복하는 수십 개의 전기 콘센트가 있다. 이 콘센트들에는 누구나 자신들이 가져온 전기 전자 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다. 아무리 주기적으로 전기가 들어와도 참여자들이 가져온 장치들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모든 장치들은 조금씩 다르게 켜지고 꺼지게 된다.

압축하지마, 퍼포먼스, 2009-
관객들이 녹화중인 카메라 앞에서서 10초 동안 ‘랜덤’하게 움직인다. 10 = 300 프레임의 영상이 H.264 코덱으로 실시간으로 압축된다. 가장 ‘랜덤’하게 움직인 사람이 동영상 압축이 가장 안되기 때문에 파일 사이즈가 크다. 파일 사이즈가 가장 큰 사람에겐 상품이 있다. 나는 압축이 쉬운 사람인가? 랜덤하게 몸을 움직인다는 것이 가능할까?

송호준은 방사능 보석, 이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 100년에 한번 깜박이는 LED 등 극한 기술을 이용하여 이야기를 만드는 작업들을 해왔다. 2013년에는 DIY 공학에서 티셔츠 판매를 아우르며 카자흐스탄에서 인공위성을 쏘아 올렸고 기존 우주 프로그램에 대한 선입견을 깨뜨리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최근에는 불확실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과학기술을 통하여 낭만주의와 해체주의의 모순적인 관계와 사회가 어떻게 영웅을 만들어 내는가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는 라이브 스트리밍, 사운드 퍼포먼스, 대량 생산, 하드코어 엔지니어링 등 사회에서 직접 작동하는 형태로 작업과 그 과정을 공유하며 기존의 예술, 디자인, 그리고 기술에 대하여 유머러스하게 의문을 제기하여 그것들을 일상생활의 이슈들과 연결하기 위해 고민한다

볼프강 슈판
에코 정부 네트워크, 2019
뉴런이 움직이는 소리가 들리는가? 뉴런의 행동 잠재력은 음의 높이와 색을 가지고 있는가? 신경망의 패턴과 구조는 어떻게 보이고 소리가 나는가? 볼프강 작업의 핵심에는 음향과 빛 피드백을 변조하는 아날로그 신경망이 있다. 볼프강은 신경과학에 사용되는 뉴런의 모델에 근거하여 아날로그 전자 뉴런을 직접 만든다. 물론 그가 만든 전자 뉴런은 실제 몸 안의 뉴런보다 훨씬 크지만, 작업에 사용된 축전기, 저항기, 트랜지스터 같은 부품은 해부학적 뉴런의 구조와 일치하며, 전자정보를 체내에 저장, 처리, 전송하는 방식도 일치한다.

완벽히 아날로그적인 이 시스템은 신경 신호를 이용하여 집에서 만든 아날로그 신디사이저 모듈과 조명 등을 작동시킨다. 컴퓨터의 수학적 방식으로 신경 행동을 시뮬레이션하는 디지털 시스템과 달리, 볼프강의 네트워크는 살아있는 신호 방식으로, 소리와 빛의 효과는 시스템의 일부로서 직접 생성된다. ‹에코 정부 네트워크›는 밝기와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음향 및 조명 센서로 입력된다. 입력된 정보는 신경망에서 처리된 후 움직이는 뉴런의 레이어를 통해 출력된다. 살아있는 네트워크가 소리와 패턴으로 스스로를 보고, 들을때 어떤일이 발생할까?

볼프강 슈판은 베를린에 기반을 둔 오스트리아-독일의 시각 예술가로 인터랙티브 설치, 미니어처 슬라이드 페인팅 및 조명 사운드 퍼포먼스 작업을 다룬다. 그의 작업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미디어 간의 모순적인 관계를 탐구하고 연구한 결과이다. 베를린 시각 예술가 협회(BBK-Berlin), Hof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파더보른 대학교University of Paderborn, 베를린 예술 대학교Berlin University of the Arts, 올덴부르크 대학교University of Oldenburg 등 에서 강사로 재직했다.

이병찬
사라진 양말, 사운드 퍼포먼스, 10’ 00”, 2019
질량을 설명하는 무대 작업은 싸구려 양말이 그 가격만큼 시간과 공간을 사용하고 사라진 경험을 불확정적인 경제적 상태로 치환하여 설명하는 작업이다. 무대는 분자구조로 짜여진 구조물로 설치되고, 구조물에 설치된 그네는 일시적 중력이탈을 경험하는 불안정한 상태를 보여준다. 무대 주변에는 적색편이 현상을 설명하는 조명장치들과 질량의 왜곡을 보여주는 반사필름지 그리고 주변의 불안정한 기압 상태를 보여주는 커텐의 움직임으로 구성된다. 무대에는 메트로놈 사운드가 교차되며 불규칙적인 박자로 시간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교차되는 박자에 맞춰 연주되는 금관악기는 대기에 다양한 파장을 만들어낸다. 금관악기의 파장과 그네의 적색편이 그리고 메트로놈 사운드는 불확정적이고 불안정한 자본의 흐름과 특정 공간을 벗어날 수 없는 불규칙적인 질량의 움직임을 보여준다.

크리쳐
규칙적인 일사량과는 다르게 자본의 에너지는 예측되지 않는 대기 상태를 만들고, 불안정한 대기 상태는 호흡하는 모든 대상에 영향을 미친다. 크리쳐는 비 물질인 자본의 팽창과 수축처럼 호흡하며 일회성의 소비 형태가 만들어내는 왜곡된 장치들을 통해 시각화된다. 크리쳐 작업은 반복된 패턴의 형태와 반사필름지 그리고 예측되지 않는 빛의 작동으로 준비되었다. 바람에 흔들리는 반사필름지와 조명의 빛은 불안정하지만 화려한 대기 상태를 그려내고, 예측되지 않는 빛들의 에너지는 반복된 굴절로 공간을 빠르게 왜곡해 나간다. 크리쳐작업의 흔들리는 형태와 빛의 굴절 그리고 왜곡된 형태는 예측되지 않는 비 물질인 자본의 에너지가 대기 안에 모든 대상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이병찬(1987)은 자본의 생태계를 주목해 왔다.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크리처와 사물에 집착에서 만들어진 기복적 현상 그리고 도시의 질량을 변형된 시간으로 구성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 자본이라는 보이지 않는 물질을 시각화하고 호흡과 공간을 구성하는 작업은 신도시에 몰리는 자본의 에너지를 경험하고 만들어진 이미지이다.

이세옥
PERFORMING NATARRIVE MEIDCINE, 2019
‹PERFORMING NATARRIVE MEIDCINE›에서 소개되는 네 편의 영상 작품은 고통, 통증, 질환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다채로운 언어를 찾고자 하는 시도의 일환이다. 또한 건강과 행복에 대한 역동적 이해를 돕는 가짜 전기 영상 작품(Mock Biopic)을 구성하는 단편들이다. 퍼포머들은 화자와 주인공으로서 말과 행동을 감행한다. 《의뢰인의 액션》과 《소프라노가 갑자기 나와》에서 퍼포머들은 이상하고 낯선 것들을 발화한다. 낯선 표현들, 낯선 소리들에서부터 낯선 요구들, 낯선 감상들을 읊는다. 무엇이 이 장면을 이상하고 낯설게 만드는 걸까. 또는 ‘익숙하고 ‘잘 알려진 내용들이 낯선 표현을 통해 전달된다. 이를 위해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텍스트인 성경을 선택했다. 《자장가 연습은 잘 알려진 텍스트를 읽는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방법들에 주목하고, 번역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특성들을 장면화한다.

이세옥은 서강대학교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MIT Art, Culture and Technology에서 공부했다. 시네마 디지털 서울(CinDi),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Exis), 부산 아시아 단편영화제(Bisff), 서울 뉴미디어 페스티벌(Nemaf) 등에서 영상 작품이 상영되었다. 문화역서울284‹카운트다운›, 백남준아트센터‹X_Sound›, ‹랜덤 엑세스› 그리고 MIT주최의 ‹Unbound: Speculations on the Future of the Book› 등의 전시에서 그의 작품들이 소개되었다.

루이스 케이
전위, 멀티채널-장소특정적 오디오 설치, 2019
저는 캐나다 토론토에서 정션The Junction이라는 동네에서 자랐습니다. 제 집은 1900년대 초반부터 계속 운영되었던 가축 창고, 가축 거래 회사와 도축장이 있는 지역인 스톡야드The Stockyards의 철도 건너편에 있었습니다. 어린 시절, 저는 메이플 리프 가금류 가공 공장 옆의 경기장에서 아이스 하키를 했습니다. 어린 10 대 시절, 나는 공장과 가축 우리로 친구들과 자전거를 타곤 했습니다. 문자 그대로 이 산업 활동의 광경, 냄새, 그리고 가장 중요한 소리와 함께 자랐습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제가 어렸을 때와는 크게 바뀌었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힘은 이 활동의 대부분을 도시 밖으로 밀어 내고자 했습니다. 오늘날, 새로운 소매용 그리고 주거용 부동산은 가축 우리와 가공 공장이 서 있던 공간을 차지합니다. 이 지역의 소리가 제가 어릴 때 기억했던 것과 크게 달라졌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트럭보다 훨씬 더 많은 자동차가 있으며 가축의 소리가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그러나 산업 활동은 땅에 강렬한 존재가 될 수 있습니다. 철도의 존재는 여전히 지배적이며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도축 공장과 가공 공장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 활동과 이들이 발생하는 소리는 새로운 활동 및 주민과 불안한 긴장 속에서 공존합니다. ‘호그 타운Hogtown’으로 불렸던 토론토의 과거 정체성을 불러 일으킬 뿐만 아니라, 도시 공간이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는지와 인간의 다양한 활동을 포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모델을 드러내는 청각적 요소를 제공하기 위해, 공존합니다.

올해 SFX 서울을 위해 제가 제작한 작품 ‹전위Transposition›는 토론토의 스톡 야드가 갖는 지금의 청각적 자료를 서울의 청각적 자료와 겹쳐서, 서울의 도축 지역에 임박한 젠트리피케이션에 대응합니다. 두 지역의 필드레코딩이 함께 섞여서 갤러리의 관객에게 전시됨으로써, 도시의 사운드 스케이프가 정치와 경제 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의 변화에 중요한 표시로 역할하는 방식을 듣고 반영합니다. 도시의 젠트리피케이션과 변형은 들을 수 있는 과정입니다. 그러나 그 소리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 지는 우리 스스로 결정해야합니다…

가축 농장, 도축장이 있던 토론토의 정션 지역에서 어린시절을 보낸 루이스 케이는 산업 활동의 현장, 냄새, 그리고 무엇보다 소리를 경험하며 자랐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힘은 오래된 환경들을 도시밖으로 밀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지역은 크게 변화했고, 새로운 상점과 주택들은 가축농장, 시멘트 공장이 있던 자리를 차지했다. 트럭보다 자동차가 많아졌으며, 가축의 소리는 완전히 사라졌다.

산업 활동은 도시에 강렬한 존재가 될 수있다. 철도의 존재는 여전히 지배적이며 오늘날까지도 도축장, 가공공장 등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경쟁 활동과 이들이 발생하는 소리는 사람들의 불안한 긴장 속에서 공존한다. 그렇게 공존하고 발전하면서, 사람들은 토론토의 이전 정체성을 “호그타운”으로 상기할 뿐만 아니라 도시 공간이 어떻게 발전 할 수 있는지 모델을 제시하고, 여전히 다양한 인간 활동을 포괄하는 소리를 들려준다.

‹전위Transposition›는 서울에 있는 도축장 개발지역과 토론토 스톡야드의 현재 경관을 중첩시킨다. 두 지역의 현장 녹화는 함께 어우러져 관람객에게 도시의 사운드 스케이프가 그 도시의 정치와 경제를 구현하는 방법뿐 아니라 사회와 문화 변화의 중요한 표식자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도시 개발과 변화는 들을 수 있는 과정이다. 하지만 반드시 우리 스스로 결정해야 함을 말해준다.

루이스 케이는 토론토의 사운드 아티스트, 미디어 연구자 및 교육자로서 사운드, 기술 및 문화의 상호작용에 대한 작업을 선보인다. 그의 최근 작업은 사운드 및 시청각 아카이브의 진보와 변화에 대해 실험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다양한 사운드 환경의 기록 과정을 탐색 및 변형한다. 다른 시각 예술가나 공연 예술가와 공동 작업을 하는 그의 작품은 미디어 설치, 극장, 오디오 CD, 5.1 서라운드 사운드 비디오 및 라이브 2채널 및 멀티 채널 성능을 포함한 다양한 표현 형식을 탐색한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Hearing Video for Vtape (Toronto, 2018), Crowds ReSpaced (Signalraum Gallery, Munich, 2014) and the McLuhan-themed Through The Vanishing Point (CONTACT Photography Festival, 2010 and McLuhan in Europe Festival, 2011)등이 있다. York, Ryerson 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및 문화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토론토 주변의 여러 대학에서 음향 연구, 미디어 연구 및 디지털 문화를 가르치고 있다.

타쿠지 코고
내 인생은 너의 포르노가 아니야, 비디오, 사운드, 5’ 30”, 2019
서울에 숨겨진 몰래 카메라와 성희롱에 대해 대항하는 애니메이션 슬로건이다. 타쿠지 코고는 시각 예술가로 기타큐슈 비엔날레와 국제 협업 아트 프로젝트인 *캔디 팩토리 프로젝트CANDY FACTORY PROJECTS의 디렉터이다. 그는 다양한 아티스트와 협업을 선보였으며, Media Scope-MoMA / 뉴욕 현대 미술관, 서울 시립 미술관, MAAP, 백남준 아트 센터, 도쿄도 사진 미술관에서 상영되었다.

아키히코 타니구치
On & On – Dyschronometria
on & on은 컴허 제이cumhur jay의 뮤직 비디오로 제작되었다. 아키히코 타니구치의 아바타가 가상 공간에 등장하며, 이 아바타는 갑자기 음악에 맞춰 춤을 추기 시작한다. 아티스트 아키히코 자신이 춤을 추는 대신, 과거에 누군가의 움직임으로 아바타의 춤을 만들었다. 온라인 모션 라이브러리에서 다운로드 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춤을 춘다. 그리고 이 아바타는 복제될 수 있으며 실제 신체는 없기 때문에, 같은 장소에서 춤을 추는 것이 가능하다. 이 작업에는 가상 공간의 새로운 온톨로지와 신체 이론이 바탕이 되어 제작되었다. 육체적 질량이나 신체가 없는 실체로서 우리의 현실 세계를 모방하는 것은 반복적인 세계다.

나와 닮은 것/본다는 것에 대하여
새로운 시각 미디어 시대의 시청과 정체성, 특히 3D 스캔에 대한 대화형 에세이 시다. 3D 스캐너를 사용하여 제작한 아티스트의 두 개의 동일한 아바타 (아티스트의 “변경된 자아”)가 3 차원 가상 환경에 배치된다. 방문객들은 각각의 아바타에서 본 풍경의 시각적 투영을 통해 그들 중 하나를 탐색할 수 있다. 아티스트의 일상 생활 환경에서 3D 스캔 한 사물로 재생산 된 물체로 둘러싸인 아바타는 “보고”라는 주제에 대해 여러 텍스트를 따라 진행한다.

우리가 볼 때마다 반드시 우리가 보는 대상을 선택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다. 반면 대상의 선택 (또는 더 나은 것은 제외 할 대상의 선택)은 과거의 경험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에 부분적으로 근거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기술인 3D 스캐닝을 통해 모델과 텍스처를 만들려면 다른 시간과 다른 각도에서 물체를 스캔하여 얻은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초의 문제인 것처럼 보이는 “보는” 행위는 실제로 여러 순간의 축적이 수반되는 현상이다. 관객은 다양한 형태의 “보기”와 관련된 텍스트와 거울, 컴퓨터 또는 다른 것들을 보면서 기억을 회상하는 방법을 탐색할 수 있다.

아키히코 타니구치는 본인이 직접 제작한 장치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미디어 아트, 넷 아트, 퍼포먼스, 비디오, 조각 등 다양한 포맷의 작업을 해 오고 있다. 타니구치는 와타나베 토모야와 함께 ‘오모데 요코초 미디어 아트 & 사이언스 아카데미’(OAMAS)의 멤버로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미디어 아트 형식에 관한 이론과 실천의 문제를 제기한다. 주요 전시로는 ‹[인터넷 아트 퓨쳐]: 포스트 인터넷 시대의 리얼리티› (ICC, 도쿄, 2012), ‹너무 많이 생각하는 사물들› (이이다바시 분메이, 도쿄, 2013), ‹오픈 스페이스 2014›(ICC, 도쿄, 2014) 등이 있다.

하울링
하울링은 2013년에 음악/사운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실험과 시도를 공연의 형태로 발표하고자 만들어졌으며 새로운 공간과 그 곳에 오는 사람들을 자연스럽게 만나고자 서점, 갤러리, 라이브클럽, 카페 등에서 비정기적 라이브를 열어왔다. 2018년에는 도시의 한복판에 있지만 관광객이 존재하는 돈의문 박물관 마을의 여러 공간에서 2018 Sound Tour를 개최하였다.

* 하울링 멤버
배인숙: 주로 사운드 인터랙션, 자작소리장치 , 일상의 소리, 음악적 소음을 주제로 한 설치와 공연을 해오고 있다. 최근에는 소리를 벗어나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소리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작업을 구상중에 있다. 2013년부터는 서점, 라이브클럽, 대안공간, 갤러리 등 여러가지 성격의 공간을 찾아다니며 실험음악회 하울링을 열고 있으며 작업과 관련된 주제를 가지고 예술교육가로 활동하고 있다.

Azoozy: ‘이글파이브’ 2집에 작편곡으로 참여하면서부터 대중음악과 관련된 일을 하였으며 이상은, 황보령의 앨범에 뮤직 프로듀서, 믹싱 엔지니어로 활동하였다. 또한 한대수 트리뷰트 앨범 ‘물좀주소’에 참여하였으며 실험음악회 불가사리, 하울링에서 연주하였다. 라이브는 주로 컴퓨터없이 드럼머신, 아날로그 필터, 신디사이저, 이펙터 등을 조합하여 즉흥적이고 변칙적 리듬을 만들어낸다.

윤수희: 들리는 것이 경험케 하는 풍경이나 기억에 관심을 가지고, 소리와 음악의 근처에서 작업하고있다. 여성 듀오 나팔꽃으로 EP와 싱글을 발표하였다. ‹소리도축자›(산수문화, 2017)로 첫 개인전을 열었으며, 반복적인 노동의 움직임이 그려내는 그림자적 형태를 재현해보는 ‹Shadow Box›(더빌리지프로젝드, 2018)를 작업했다.

화음챔버오케스트라
화음챔버오케스트라는 1996년 3월 한국 서울에서 창단되었다. 문화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던 ‘실내악단 화음(畵音)’을 모태로 현악중심의 챔버오케스트라로 확대 개편한 것이다. 이후 20여 년 간 리더그룹이란 실험적인 제도를 통하여 열정적이고 개성 있는 사운드와 민주적인 그룹 문화를 이루어내며 챔버오케스트라로써의 기반을 다져 나갔다. 그리고 자체 개발한 ‘화음프로젝트’를 통하여 공연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시스템화 함으로써 고유의 레퍼토리를 지속적으로 제작함에 따라 관악, 타악, 국악 등 다양한 편성으로 확대하며 콘텐츠 중심의 그룹으로 발전하게 되였다. 또한 창단 이후 가치 공유를 통한 기업과의 지속적인 파트너쉽은 한국 음악계의 모델 케이스로써 기업의 사회공헌의 모범 사례가 되고 있으며 화음챔버오케스트라 역시 예술의 사회적 역할과 문화의 공공성에 깊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Program
11/29(금) 오후 7:00 

권욱현
‹Bias› for Violin Solo
Violin 박지현

서지웅
… Moments Musicaux …
Violin 박지현, Viola 이지윤, Cello 이헬렌

유소정
“Incompleteness” for String Trio
Violin 박지현, Viola 이지윤, Cello 이헬렌

11/30(토) 오후 3:00

나상윤
Reverberation
Oboe 윤민규, ViolinⅠ 임지희, ViolinⅡ 박미희, Viola 이지윤, Cello 이헬렌

장승현
Intention of Slowdown
ViolinⅠ 임지희, ViolinⅡ 박미희, Viola 이지윤, Cello 이헬렌

이세영
be broken…
Piano 이은지

전다빈
언젠가, 그것은 다시 돌아올거야.
Flute 왕명호, Clarinet 김주현, Violin 임지희, Cello 이헬렌, Piano 이은지

예술감독/지휘
박상연 Sang Yeon Park

작곡
권욱현 Ukhyun Kwon
나상윤 Joanne S. Na
서지웅 Jee Seo
유소정 Sojeng-Lucia Yoo
장승현 Seth Seung-Hyun Jang
전다빈 Dabeen JEON

연주
Violin
임지희 Jihee Lim
박미희 Mi Hee Park
박지현 Ji Hyun Park

Viola
이지윤 Gee Yun Lee

Cello
이헬렌 Hele Lee

Flute
왕명호 Myungho Wang

Oboe
윤민규 Minkyu Yoon

Clarinet
김주현 Joo Hyun Kim

Piano
이은지 Eunji Lee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女子의 變身은 無罪 (여자의 변신은 무죄)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싸구려 인조인간의 노랫말 2- 연기, 바람, 그리고 낚시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On Off Everything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볼프강 슈판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아키히코 타니구치 - On & On – Dyschronometria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이병찬 - 사라진 양말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이세옥 - PERFORMING NATARRIVE MEIDCINE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타쿠지 코고 - 내 인생은 너의 포르노가 아니야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토마스 베정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화음챔버오케스트라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1. Rolling Eyes: Proposals for Media Façade
    눈 홉뜨기: 미디어 파사드를 위한 제안들
  2. Hee Jae Kim Solo Exhibition: CH3CKPOINT
    김희재 개인전: 체크 포인트
    Hee Jae Kim
    김희재
  3. Untimely Resonance – Betwixt & Between Waves
    범피중류: 오래된 공명
  4. HYELIM HONG Solo Exhibition: Hysterical feedback
    홍혜림 개인전: 발작적! 너무나도 웃기는 되먹임
    HYELIM HONG
    홍혜림
  5. Residual
    잉여의 변증법
    Hyeokjong Lee, Hyojun Hyun
    리혁종, 현효준
  6. Simon Boudvin Solo Exhibition: Two Things
    시몽 부드뱅 개인전: 두 가지
    Simon Boudvin
    시몽 부드뱅
  7. Da-Seul Lee Solo Exhibition: SuriSuri Mahasuri SuSuri Sabaha
    이다슬 개인전: 수리수리마하수리 수수리사바하
    Da-Seul Lee
    이다슬
  8. Technical Gardens: The Ideal Breeding Ground
    테크니컬 가든: 이상적 번식지
    Jana Kerima Stolzer + Lex Rütten
    야나 케리마 슈톨처 + 렉스 뤼텐
  9. EarthSea Talk+Screening
    어스시 토크+스크리닝
  10. Light shine glimmer - Leak spill shimmer
    희미하게 흘러흘러 아른아른 빛나는
  11. Team YEODA Showcase: Breathing Space
    Team YEODA 쇼케이스: 숨 쉬는 방
    Team YEODA
  12. Hexed, Vexed and Sexed: 8 Women Artists from Korea
    헥스드, 벡스드 & 섹스드: 8인의 한국 여성 아티스트
  13. Dew Kim Solo Exhibition: The Last Scene
    듀킴 개인전: The Last Scene-부서질수록 확장되는
    Dew Kim
    듀킴
  14. Hidden+Lost-Tracing Sound
    히든+로스트-트레이싱 사운드
    Peter Gahn
    페터 간
  15. Chanmin Jeong Solo Exhibition: Mass Action
    정찬민 개인전: 행동부피
    Chanmin Jeong
    정찬민
  16. Yo-E Ryou Solo Exhibition: Why I Swim
    요이 개인전: 내가 헤엄치는 이유
    Yo-E Ryou
    요이
  17. Sascha Pohle Solo Exhibition: Fluid Ground
    사샤 폴레 개인전: 플루이드 그라운드
    Sascha Pohle
    사샤 폴레
  18. Some Form
    어떤 형태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예술과미디어학회
  19. Jongheon Bae Solo Exhibition: Isolation Travelogue
    배종헌 개인전: 고립여행 孤立旅行
    Jongheon Bae
    배종헌
  20. Haejung Jung Solo Exhibition: Sea Squirt and I
    정혜정 개인전: 멍게와 나
    Haejung Jung
    정혜정
  21. Hanbee Kim Solo Exhibition: AGA
    김한비 개인전: 아가AGA
    Hanbee Kim
    김한비
  22. Sisters, We Grow: Seoul - San Francisco Exchange Exhibition
    자매들, 우리는 커진다: 서울-샌프란시스코 교류전
  23. Su Hyun Nam Project Preview: Nonrepresentational Flow
    남수현 프로젝트 프리뷰: 표상의 사각지대
    Su Hyun Nam
    남수현
  24. Philippe Battikha Solo Exhibition: Hitting Mung
    필립 바티카 개인전: 멍 때리기
    Philippe Battikha
    필립 바티카
  25. Paranormal Opera
    파라노말 오페라
  26. Marco Barotti Solo Exhibition: APES
    마르코 바로티 개인전: 유인원
    Marco Barotti
    마르코 바로티
  27. Eco-Feminism Symposium
    에코페미니즘 심포지엄
  28. The City Genes → The Bubble in the Mind
    파레틴 오렌리 개인전: 도시 유전자 → 버블 인 더 마인드
    Fahrettin Örenli
    파레틴 오렌리
  29. A PLAYERS
    고독한 플레이어 蠱毒한 PLAYER
  30. Simple Thoughts: Ecology-Gender-Communism
    간결한 생각들: 생태-젠더-공산
  31. Jung Seung Solo exhibition: Data Refraction- Digital Orchestra
    정승 개인전: 데이터의 굴절-디지털 오케스트라
    Jung Seung
    정승
  32. Yeon Sook Lee Solo Exhibition: PROTOTYPE_Memory Space_Body Sound Door
    이연숙 개인전: 프로토타입_기억공간_몸 소리 문
    Yeon Sook Lee
    이연숙
  33. Jaehun Park Solo Exhibition: Real-time Limbo
    박재훈 개인전: 실시간 연옥
    Jaehun Park
    박재훈
  34. Hyung-Geun Park Solo Exhibition: Bleak Island
    박형근 개인전: 차가운 꿈
    Hyung-Geun Park
    박형근
  35. ha cha youn Solo Exhibition: Return Home
    하차연 개인전: 집으로
    ha cha youn
    하차연
  36. Joy of Singing
    노래하는 사람
  37. Jisu Han: Saenghwang Bang-at-gan
    한지수: 생황 방앗간
    Jisu Han
    한지수
  38. Bokyung Jun Solo Exhibition: Confirm Humanity
    전보경 개인전: 로봇이 아닙니다
    Bokyung Jun
    전보경
  39. Refugia: Sound Projects by 11 Women Artists
    레퓨지아: 여성 아티스트 11인의 사운드 프로젝트
  40. Youngmee Roh Solo Exhibition: DOT on the roof
    노영미 개인전: 지붕 위의 도로시
    Youngmee Roh
    노영미
  41. Covered Culture
    커버드 컬처
  42. Youngjoo Cho: Cotton era
    조영주 개인전: 코튼 시대
    Youngjoo Cho
    조영주
  43. Kazunari Hattori Posters
    카즈나리 핫토리 포스터
    Kazunari Hattori
    카즈나리 핫토리
  44. RYU Biho Solo Exhibition: Incomplete
    유비호 개인전: 미제Incomplete
    RYU Biho
    유비호
  45. Down the Melting Pot
    멜팅팟 속으로
  46. Lyrics of Cheap Androids 2 (Robot Nocturne)
    권병준 라이브 공연, 싸구려 인조인간의 노랫말 2 (로보트 야상곡)
    Byungjun Kwon
    권병준
  47. Eunji Cho Solo Exhibition: Dancing Between Two Earths
    조은지 개인전: 두 지구 사이에서 춤추기
    Eunji Cho
    조은지
  48. Woo Jin Kim Solo Exhibition: You will have to follow the directions you hear
    김우진 개인전: 다음을 듣고 따라 하시오
    Woo Jin Kim
    김우진
  49. Virtual memory
    기억장치-Virtual memory
  50. Echo Chamber: Sound Effects Seoul 2019
    에코 챔버: 사운드 이펙트 서울 2019
  51. Korea-Japan Interchange Exhibition <50/50>
    한일 교류전 <50/50>
  52. Yang Ah Ham_Undefined Panorama 2.0
    함양아_정의되지 않은 파노라마 2.0
    Yang Ah Ham
    함양아
  53. We are bound to meet: Chapter 1. Many wounded walk out of the monitor, they turn a blind eye and brush past me.
    우리는 만날 수밖에 없다: 제1장. 상처 입은 많은 이들이 모니터 밖으로 걸어 나와, 나를 외면한 채 지나쳐 간다.
  54. Ye Eun Min Solo Exhibition: Unpredictable invisibility
    민예은 개인전: 예측할 수 없는 투명함
    Ye Eun Min
    민예은
  55. *Candy Factory Projects in Seoul
    *캔디 팩토리 프로젝트 인 서울
    *Candy Factory Projects
    *캔디 팩토리 프로젝트
  56. LESS Solo Exhibition: RAWTEENSTAR
    레스 개인전: 로우틴스타
    LESS
    레스
  57. The 20th Anniversary Archive Project of Alternative Space LOOP
    예술, 시대의 각인: 대안공간 루프 20주년 아카이브 프로젝트
  58. Byungjun Kwon Solo Exhibition: Club Golden Flower
    권병준 개인전: 클럽 골든 플라워
    Byungjun Kwon
    권병준
  59. The 5th Sound Effects Seoul: Women Hack SFX Seoul 2018
    제5회 사운드이펙트서울: 우먼 핵 SFX 서울 2018
  60. Eunsae Lee Solo Exhibition: Night Freaks
    이은새 개인전: 밤의 괴물들
    Eunsae Lee
    이은새
  61. Zeitgeist: Video Generation
    시대정신: 비디오 제너레이션
  62. Young Joo Lee Solo Exhibition: Shangri-La
    이영주 개인전: 샹그릴라
    Young Joo Lee
    이영주
  63. Move on Asia 2018
    무브 온 아시아 2018
  64. Mu Kee Kim Solo Exhibition: Save My Friend!
    김무기 개인전: 내 친구를 구해줘!
    Mu Kee Kim
    김무기
  65. The 70th Anniversary of the Jeju April 3rd Uprising and Massacre Network Project Sleepless Namdo: 1948, 27719, 1457, 14028, 2018
    제주 4•3 70 주년 기념 네트워크 프로젝트 잠들지 않는 남도: 1948, 27719, 1457, 14028, 2018
  66. Hyun Sun Jeon Solo Exhibition: Parallel Paths
    전현선 개인전: 나란히 걷는 낮과 밤
    Hyun Sun Jeon
    전현선
  67. Connectivity-Jeju: Juhyun Kang, Sangnam Kim, Juae Park, Geumyun Byun, Jiyu Lee
    커넥티비티-제주: 강주현, 김상남, 박주애, 변금윤, 이지유
  68. Young Mean Kang Solo Exhibition: Exiled Love
    강영민 개인전: 금지된 사랑
    Young Mean Kang
    강영민
  69. Yoo La Shin Solo Exhibition: White Velvet
    신유라 개인전: 화이트 벨벳
    Yoo La Shin
    신유라
  70. Seong Hye Hong Solo Exhibition: Misrecognition
    홍성혜 개인전: 오인 誤認 잘못 보거나 잘못 생각함
    Seong Hye Hong
    홍성혜
  71. Il Young Kim Solo Exhibition: Nudity
    김일용 개인전: 벌거벗음
    Il Yong Kim
    김일용
  72. Min Hwa Choi Solo Exhibition
    최민화 개인전: 모든 회상은 불륜이다. 망각은 학살 만큼 본질적 이므로.
    Min Hwa Choi
    최민화
  73. Move on Asia 2017: Mobilized Representation
    무브 온 아시아 2017: 동원된 표상
  74. Artistic Survival Tactics: Tomohiko Okabe: KOTO-LAB, The Weather Bureau, Lee Wonho, Jeon Minhyuk, Shin Jehyun, Yang Yoonim, Yi Boram, Yoo Youngbong: Seoul-Kedam and ZERO SPACE
    예술적 생존법 연구: 공공공간, 신제현, 양윤임, 유영봉: 서울괴담, 이보람, 이원호, 전민혁, 웨더 뷰로, 토모히코 오카베: 코토랩
  75. Moment Untimely Encounter 2016: Seungwook Koh, Minja Gu, Jaebum Kim, Kai Lam, Loo Zihan, Bani Haykal, Ryudai Takano, Satoko Nema
    시의 부적절한 만남 2016: 고승욱, 구민자, 김재범, 카이람, 루즈한, 바니 하이칼, 류다이 타카노, 사토코 네마
  76. Soyoon Lee Solo Exhibition: Flower-Fire Fire-Flower
    이소윤 개인전: 화화 花火 火花
    Soyoon Lee
    이소윤
  77. Yona Lee Solo Exhibition: In Transit
    이요나 개인전: 인 트랜짓
    Yo Na Lee
    이요나
  78. You Jin Solo Exhibition: The View of Heterotopos
    요진 개인전: 이, 시공간 異, 時空間
    You Jin
    요진
  79. Sun Mu Solo Exhibition: If That Were What Happiness Is
    선무 개인전: 그것이 행복이라면
    Sun Mu
    선무
  80. Kyung Hwa Shon Solo Exhibition: The Surface of the City and the Depth of the Psyche
    손경화 개인전: 도시의 표면과 프시케의 깊이
    Kyung Hwa Shon
    손경화
  81. Colourshift: Ross Manning+Kit Webster
    컬러쉬프트: 로스 매닝+킷 웹스터
    Ross Manning, Kit Webster
    로스 매닝, 킷 웹스터
  82. Atsunobu Katagiri Solo Exhibition: Sacrifice in FUKUSHIMA, The Ikebana of Regeneration, Offered to the Future
    카타기리 아츠노부 개인전: 희생, 미래에 바치는 재생의 이케바나
    Atsunobu Katagiri
    카타기리 아츠노부
  83. May Fly: Gaetoe, Doyoung Kim, Hyoeun Seo, King Hong, JungJoo, Unmaru
    하루살이: 개토, 김도영, 서효은, 킹홍, 정주, 언마루
  84. Gi Gi Sue Solo Exhibition: Flower Field Fake Flower Origami
    지지수 개인전: 꽃밭에서 가짜 종이꽃 접기
    Gi Gi Sue
    지지수
  85. Joong Keun Lee Solo Exhibition: From Moment To Eternity
    이중근 개인전: 순간에서 영원으로
    Joong Keun Lee
    이중근
  86. Chan Sook Choi Solo Exhibition: THE PROMISED LAND
    최찬숙 개인전: 정신적 이주에 관한 보고서 파트 1, 이동기술 편
    Chan Sook Choi
    최찬숙
  87. You, 宙主, 魔氏
    You, 宙主, 魔氏
    U JUJU, MA C
    유쥬쥬, 마C
  88. Jihee Park Solo Exhibition: When Does a Rectangle Become a Parallelogram?
    박지희 개인전: 직사각형은 언제 평행사변형이 될까?
    Jihee Park
    박지희
  89. 癲 미칠,전_미쳐버리고 싶은, 미쳐지지 않는
    癲 미칠,전_미쳐버리고 싶은, 미쳐지지 않는
  90. New German Video Art
    독일 동시대 영상의 새로운 흐름
  91. Digital Triangle: Media Art Today in KoreaㆍChinaㆍJapan
    디지털 트라이앵글: 한중일 미디어 아트의 오늘
  92. Yunchul Kim Solo Exhibition: WHITEOUT
    김윤철 개인전: 백시 白視
    Yunchul Kim
    김윤철
  93. Sangjin Kim Solo Exhibition: Phantom Sign
    김상진 개인전: 팬텀 기호
    Sangjin Kim
    김상진
  94. Chae Won Kim Solo Exhibition: Virtual Windows
    김채원 개인전: 가상 윈도우
    Chae Won Kim
    김채원
  95. Languages and Aesthetics of Spanish Video Art Ten Years Of Critical Practices
    스페인 비디오 아트의 언어와 미학 : 10년간의 주요 실천들
  96. Bang & Lee Solo Exhibition: Friendship Is Universal
    방&리 개인전: 우정은 보편적인 것
    Bang & Lee
    방&리 (방자영, 이윤준)
  97. Move on Asia 2014: Censorship
    무브 온 아시아 2014: 검열
  98. Transfer Korea-NRW, Combination: Erika Hock, Manuel Graf, Yeondoo Jung, Luka Fineisen, Yee Soo Kyung, Kyung Ah Ham, Kira Kim
    트란스페어 한국-엔에르베, 합체: 에리카 호크, 마누엘 그라프, 정연두, 루카 핀아이젠, 이수경, 함경아, 김기라
  99. xLoop : Mutation, Grotesque And / Or Creative: Seung yun Shin, Ji Hyun Yoon, Ye Seung Lee, Jun Lee
    x루프: 돌연변이, 그로테스크 그리고 / 또는 창조적인: 신승연, 윤지현, 이예승, 이준
  100. Chang-Hong Ahn Solo Exhibition: Micro:scope
    안창홍 개인전: [발:견/發:見]
    Chang-Hong Ahn
    안창홍
  101. Yoon Sung Chang Solo Exhibition: Moving Landscape 2
    장윤성 개인전: 무빙 랜드스케이프 2
    Yoon Sung Chang
    장윤성
  102. The Stranger: Maija Blafield, Karolina Bregula, Jamila Drott, Linda Quinlan, Lim Shengen
    이방인: 마이야 블라필드, 카롤리나 브레굴라, 야미라 드롯, 린다 퀸란, 림 쉥근
  103. Joo A Chung Solo Exhibition: Honest Man
    정주아 개인전: 진실된 남자
    Joo A Chung
    정주아
  104. Wonwoo Lee Solo Exhibition: Well Done, Good Luck
    이원우 개인전: 웰 던, 굿 럭
    Wonwoo Lee
    이원우
  105. Jungki Beak Solo Exhibition: is of
    백정기 개인전: 이즈 오프
    Jungki Beak
    백정기
  106. Chang Won Lee Solo Exhibition: Other Selves
    이창원 개인전: 아더 셀브즈
    Chang Won Lee
    이창원
  107. Move on Asia 2012: Oriental Metaphor
    무브 온 아시아 2012: 동양적 은유
  108. Henkel Inno Art Project_BOND THE MOMENT: Seulki&min, Sungmin Hong, Dongchun Yoon
    헨켈 이노아트 프로젝트_순간의 접착: 슬기와 민, 홍성민, 윤동천
  109. Jin Han Lee Solo Exhibition: Postmodernism of the Beholder - Landscape of the Concept
    이진한 개인전: 관찰자의 포스트 모더니즘, 개념의 풍경화
    Jin Han Lee
    이진한
  110. Dae Jin Choi Solo Exhibition: Human Work
    최대진 개인전: 인간의 일
    Dae Jin Choi
    최대진
  111. Around the World in 80 Hours
    80시간의 세계일주
  112. Humanism After Humanism: Geric Cruz, Hyungji Park, Jinhui Kim, Jongwan Jang, Meiro Koizumi, Owl City, Yuki Ohro
    휴머니즘 이후 휴머니즘: 게릭 크루즈, 박형지, 김진희, 장종완, 메이로 고이즈미, 아울 시티, 유키 오흐로
  113. Kyung Woo Han Solo Exhibition: Red Cabinet
    한경우 개인전: 레드 캐비닛
    Kyung Woo Han
    한경우
  114. Ji Eun Kim Solo Exhibition: Hermit Crab-ism
    김지은 개인전: 소라게 살이
    Ji Eun Kim
    김지은
  115. Move on Asia 2011
    무브 온 아시아 2011
  116. Henkel Inno ART Project 2011: Dongi Lee, Seung Ho Yoo, Kyoung Tack Hong
    헨켈 이노아트 프로젝트: 이동기, 유승호, 홍경택
    Dongi Lee, Seung Ho Yoo, Kyoung Tack Hong
  117. Liverpool Biennial 2010: Media Landscape, Zone east
    2010 리버풀 비엔날레 순회전: 미디어 랜드스케이프, 존 이스트
  118. Public Discourse Sphere, Aftereffects of Neo-liberalism
    여론의 공론장_신자유주의 그 이후
  119. Gee Song Solo Exhibition: Beyond Landscape
    송지윤 개인전: 풍경 넘어
    Gee Song
    송지윤
  120. Extended Senses: Duegyoung Lee , Dong Hoon Cha, Kyung Woo Han, Ando Takahiro, Yamaguchi Takahiro, Satosi Yasiro
    감각의 확장: 이득영, 차동훈, 한경우, 안도 타카히로, 야마구치 타카히로, 사토시 야시로
  121. Yasuto Masumoto Solo Exhibition: Private Chorus
    마스모토 야스토 개인전: 프라이버시 코러스
    Yasuto Masumoto
    마스모토 야스토
  122. The 4th Exhibition of Painting: Hysterics
    4회 회화모음전: 히스테리
  123. Move On Asia 2010
    무브 온 아시아 2010
  124. Kang Hyun Ahn Solo Exhibition: Throwing a Dice
    안강현 개인전: 주사위 던지기
    Kang Hyun Ahn
    안강현
  125. Young Eun Kim Solo Exhibition: Lesson For A Naming Office
    김영은 개인전: 작명소 레슨 제 1장
    Young Eun Kim
    김영은
  126. Video International Vital Festival
    비바 페스티벌
  127. Young Ho Lee Solo Exhibition: Black Maria and the White City
    이영호 개인전: 블랙 마리아와 화이트 시티
    Young Ho Lee
    이영호
  128. Known Unknowns
    영국현대미술전-알려진 혹은 알려지지 않은
  129. Re: Membering - Next of Japan
    리:멤버링-일본현대미술전
  130. Eun Woo Lee Solo Exhibition: Event Horizon
    이은우 개인전: 사건의 지평선
    Eun Woo Lee
  131. Turkey Contemporary Art-A different similarity: End Game
    터키현대미술-다른 유사성: 엔드 게임
  132. Drama Station 2.0: Hyewon Kwon, Tae-Un Kim, Hyun Suk Seo, Jinhee Ryu, Hyelim Cha
    드라마 스테이션 2.0: 권혜원, 김태은, 서현석, 유진희, 차혜림
  133. Sen Chung Solo Exhibition: First Glance
    샌정 개인전: 첫 인상
    Sen Chung
    샌정
  134. The Next of Russian Art: Bluesoup, Irina Korina, Sergei Shekhovtsov, Ivan Plusch , Vlad Kulkov, Semion Faibisovich
    러시아 현대미술전: 블루수프, 블바드 쿨코브, 이리나 코리나, 세르게이 쉐코브소브, 세묭 파에비소비치, 이반 플로치반
  135. Justin Ponmany Solo Exhibition: Justin Ponmany Show
    저스틴 폰마니 개인전: 저스틴 폰마니 쇼
    Justin Ponmany
    저스틴 폰마니
  136. POINT
    포인트
  137. Here Once Again
    예술과 영화가 소통하는 접점
  138. Kira Kim Solo exhibition: The Republic of Propaganda
    김기라 개인전: 선전공화국
    Kira Kim
    김기라
  139. Heung Sup Jung Solo Exhibition: Loading…
    정흥섭 개인전: 로딩
    Heung Sup Jung
    정흥섭
  140. The 3rd Painting Collection_ Privacy: Shin Young Kim, Songsik Min, So Young Park, Doojin Ahn, So Jung Lee, Ho In Lee, Young Seok Cha
    3회 회화모음전_ 프라이버시: 김신영, 민성식, 박소영, 안두진, 이소정, 이호인, 차영석
  141. Sung Won Won Solo Exhibition: Tomorrow
    원성원 개인전: 투모로우
    Sung Won Won
    원성원
  142. Art and Capital-Spiritual Odyssey: Raqs media, Antenna, Hiroshi Fuji, Xiao Yu, Rirkrit Tiravanija, Flying City, Dongki Lee, Joong Guen Lee
    예술과 자본: 락스 미디어, 안테나, 히로시 후지, 샤오 유, 리크릿 트라반자, 플라잉시티, 이동기, 이중근
  143. Korea Episode_ The Phantom menace: Sejin Kim, Biho Ryu, Jia Chang, Hye Jung Jo, Ke Ryoon Han
    코리아 에피소드_ 보이지 않는 위험: 김세진, 유비호, 장지아, 조혜정, 한계륜
  144. Move On Asia 2007
    무브 온 아시아 2007
  145. Hoon Cho Solo Exhibition: Come to My Penthouse
    조훈 개인전: 팬트하우스로 놀러와
    Hoon Cho
    조훈
  146. Speaking of unspeakable
    기억의 기술,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기
  147. Hyena Kim Solo Exhibition: How ugly they are!
    김혜나 개인전: 그들이 얼마나 못생겼는지!
    Hyena Kim
    김혜나
  148. Dong Wook Suh Solo Exhibition: Myself when I am real
    서동욱 개인전: 내 자신이 진실일 때
    Dong Wook Suh
    서동욱
  149. Bitmap_ International Digital Photo Project: Seoung Won Won, Hyeong Geun Park, AES+F, Wang Qingsong
    비트맵_ 국제 디지털 사진 프로젝트: 원성원, 박형근, AES+F, 왕칭송
  150. Taeheon Kim Solo Exhibition: The Square
    김태헌 개인전: 사각형
    Taeheon Kim
    김태헌
  151. Jay & Jina Exhibition: Between the Bars
    바 사이에: 박지나, 이재하
    Ji Na Park, Jae Ha Lee
    박지나,이재하
  152. Jia Chang Solo Exhibition: Omerta
    장지아 개인전: OMERTA-침묵의 계율
    Jia Chang
    장지아
  153. Oriental metaphor
    오리엔탈 메타포
  154. Hyelim Cha Solo Exhibition: HYPER-HYBRIDIZATION
    차혜림 개인전: 하이퍼 하이브리디제션
    Hyelim Cha
    차혜림
  155. Hanna Kim Solo Exhibition: A decent day for Hanna
    김한나 개인전: 한나의 괜찮은 하루
    Hanna Kim
    김한나
  156. Sunah Choi Solo Exhibition: Long and Short
    최선아 개인전: 긴 것 짧은 것
    Sunah Choi
    최선아
  157. Jonghwan Kim Solo Exhibition: Transforming Episode
    김종환 개인전: 변신 에피소드
    Jonghwan Kim
    김종환
  158. Bikini In Winter: Ahmad Fuad B. Osman, Angki Purbandono, Chananun Chotrungroj, Che Jin Suk, Leslie de Chawez, Olivia Maria Glebbeek
    겨울 비키니: 앙키 프르반도노, 샤나넌 쇼릉럿, 올리비아 마리아 글렙, 레슬리 데 차베스, 아하메드 푸앗 오스만, 채진숙
  159. Byeong Hun Min Solo Exhibition: Polaroid Poster
    민병훈 개인전: 폴라로이드 포스터
    Byeong Hun Min
    민병훈
  160. Sang Gyun Kim Solo Exhibition: Artificial Paradise
    김상균 개인전: 인공낙원
    Sang Gyun Kim
    김상균
  161. Move on Asia 2006: Clash and Network
    무브 온 아시아 2006: 충돌과 네트워크
  162. Yong Baek Lee Solo Exhibition: Angel-Soldier
    이용백 개인전: 천사天使-전사戰士
    Yong Baek Lee
    이용백
  163. The Power of Hangul – Hangul Dada 2005
    한글의 힘 - 한글다다 2005
  164. Since 1999: Seung Wook Koh, Osang Gwon, Gimhongsok, Yi Soon-Joo, Suejin Chung, Yeondoo Jung, Flying City, Kyungah Ham
    1999년 이후: 고승욱, 권오상, 김홍석, 이순주, 정수진, 정연두, 플라잉시티, 함경아
  165. Bo Hyeong Kim Solo Exhibition: Where Truth Lies
    김보형 개인전: 진실 거짓은 어디에
    Bo Hyeong Kim
    김보형
  166. Inside Out: Shine Kong, Hyena Kim, Dohyeon Lee, Boram Lee
    속을 뒤집다: 공시네, 김혜나, 이도현, 이보람
  167. Nano in Young Artist: Jae Hong Kwon, Seung Ho Yoo, Min Young Cha, Xooang Choi, Youn Joo Ham, Jin Ham, Hak Soon Hong
    10억 분의 1의 젊은 작가: 권재홍, 유승호, 차민영, 최수앙, 함연주, 함진, 홍학순
  168. 40 Korea-Japan Interchange Exhibition: Sora Kim, Gimhongsok, Choi Jung Hwa, Seoyoung Jung, Sungmin Hong, Jong Myeong Lee, Mikyung Lee, Ozawa Tsuyoshi, Arima Sumitoshi, Parco Kinosita, Dosa Masamichi, Oiwa Oskar Sachio, Aida Makoto, Matsugage Hirouki
    40 한일 교류전: 김소라, 김홍석, 최정화, 정서영, 홍성민, 이종명, 이미경, 오자와 츠요시, 아리마 스미토시, 파르코 키노시타, 도사 마사미치, 오이와 오스칼 사치오, 아이다 마코토, 마츠가게 히로우키
  169. Jina Noh Solo Exhibition: Je suis l’hommelette!!
    노진아 개인전: 나는 오믈렛입니다!!
    Jina Noh
    노진아
  170. Suyoung Kim Solo Exhibition: Flat Construction
    김수영 개인전: 평면건축
    Suyoung Kim
    김수영
  171. Yeon Hee Jung Solo Exhibition: Hole
    정연희 개인전: 구멍
    Yeon Hee Jung
    정연희
  172. Jaye Rhee Solo Exhibition: Transcape
    이재이 개인전: 경관
    Jaye Rhee
    이재이
  173. Hyun Woo Lee Solo Exhibition: 1996-2004
    이현우 개인전: 1996-2004
    Hyun Woo Lee
    이현우
  174. Reconstruction: Mi Jin Kim, Young Ju Lyu
    재건: 김미진, 류영주
    Mi Jin Kim, Yeong Ju Lyu
    김미진,류영주
  175. Jihoon Park Solo Exhibition: The FLASHER
    박지훈 개인전: 노출증
    Jihoon Park
    박지훈
  176. Sung Min Hong Solo Exhibition: I-ya-gi異夜記
    홍성민 개인전: 이야기異夜記
    Sung Min Hong
    홍성민
  177. Sang Bin Kang Solo Exhibition: Where Saints Live
    강상빈 개인전: 성도들이 살고 있는 곳
    Sang Bin Kang
    강상빈
  178. Bernd Halbherr Solo Exhibition: Space Lab
    베른트 할프헤르 개인전: 스페이스 랩
    Bernd Halbherr
    베른트 할프헤르
  179. Yong Kyong Kim Solo Exhibition: Make CAMOUFLAGE
    김용경 개인전: 카무플라주 만들기
    Yong Kyong Kim
    김용경
  180. Yeondoo Jung Solo Exhibition: Be Witched
    정연두 개인전: 내사랑 지니
    Yeondoo Jung
    정연두
  181. Byungwang Cho Solo Exhibition: Two dimensional Space Drawing II
    조병왕 개인전: 2차원적 공간 드로잉 II
    Byungwang Cho
    조병왕
  182. Klega Solo Exhibition: Drawing from Sound
    클레가 개인전: 소리를 들려주는 드로잉
    Klega
    클레가
  183. Ki Heoun Jeoung Solo Exhibition: E-motion house
    정기현 개인전: 감정 집
    Ki Heoun Jeoung
    정기현
  184. Jin Gi Choi Solo Exhibition: Revolt of Plastic
    최진기 개인전: 플라스틱의 반란
    Jin Gi Choi
    최진기
  185. Jae Hong Kwon, Jae Min Kim: City and Human
    도시와 인간: 권재홍, 김재민
    Jae Hong Kwon, Jae Min Kim
    권재홍, 김재민
  186. Reality Bites 02: Si Yeon Kim, Jun Bum Park, Jungho Oak, Hae Ri Jang, Bek Hyunjin
    리얼리티 바이트 02: 김시연, 박준범, 옥정호, 장해리, 백현진
  187. Reality Bites 01: Sanggil Kim, Jaeoon Rho, Byul.org, Dong Hwa Won, Young Mi Chun
    리얼리티 바이트 01: 김상길, 노재운, 모임 별, 원동화, 천영미
  188. Young In Hong Solo Exhibition: The Pillars
    홍영인 개인전: 기둥들
    Young In Hong
    홍영인
  189. Kira Kim Solo Exhibition: 0.000km
    김기라 개인전: 0.000km
    Kira Kim
    김기라
  190. Si yeon Kim Solo Exhibition: Greeting
    김시연 개인전: 인사
    Si Yeon Kim
    김시연
  191. Two Persons’ Exhibition of A Jin Yoon, Woo Suk Jang
    윤아진, 장우석 2인전: 기호, 기체
    A Jin Yoon, Woo Suk Jang
    윤아진, 장우석
  192. Richard Giblett Solo Exhibition: Ghost Town
    리차드 지블렛 개인전: 유령 타운
    Richard Giblett
    리처드 게블렛
  193. Hyun Soo Kyung Solo Exhibition
    경현수 개인전: 공간 속에서 자라는 기억
    Hyoun Soo Kyung
    경현수
  194. Baruch Gottlieb Solo Exhibition: Step on skin for a bawdy walking rhythm
    바루흐 고틀립 개인전: 외설적인 걷기 리듬을 위한 피부의 단계
    Baruch Gottlieb
    바루흐 고틀립
  195. In my case_Different Navigations: Jesse Birch, Kim Mun Ro, Chad Smith
    나의 경우_다른 항법들: 제시 버치, 김문로, 차드 스미스
    Jesse Birch, Kim Mun Ro, Chad Smith
    제시 버치, 김 먼로, 차드 스미스
  196. Ku Kan Son, Hwan-Kwon Yi: The Plastic
    플라스틱: 손국환, 이환권
    Ku Kan Son, Hwan Kwon Yi
    손국환, 이환권
  197. Edward Summerton Solo Exhibition: Bad Camber
    에드워드 서머튼 개인전: 배드 켐버
    Edward Summerton
    에드워드 서머튼
  198. Two Persons’ Exhibition of Mina Park, Nakhee Sung
    2인전: 박미나, 성낙희
    Mina Park, Nakhee Sung
    박미나, 성낙희
  199. Jung Seung Won Lee Solo Exhibition: ing
    이정승원 개인전: ing
    Jung Seung Won Lee
    이정승원
  200. One Second: Yongbaek Lee, Ji Sook Yu, Jung Won Choi, Hye Min Son, Eun Kyung Kim
    1초: 이용백, 유지숙, 최정원, 손혜민, 김은경
  201. Retro Bistro: Seong Yul Yim, Sung Chul Kim, Jung Ho Choi, Young Ki Kim, Dong Kwon Oh, Hyo Jin Kim, Yeon Su Baek, So Yeon Jo
    레트로 비스트로: 임승률, 김성철, 최정호, 김영기, 오동권, 김효진, 백연수, 조소연
  202. In Hwan Oh Solo Exhibition: Identity, Time, Awareness of Space
    오인환 개인전: 정체성, 시간, 공간 인식의 높은 벽
    In Hwan Oh
    오인환
  203. Yeondoo Jung Solo Exhibition: Boramea Dance Hall
    정연두 개인전: 보라매 댄스홀
    Yeondoo Jung
    정연두
  204. So Yeon Chung Solo Exhibition: The Past / The Present
    정소연 개인전: 과거/ 현재
    So Yeon Chung
    정소연
  205. Pink Bacteria: Soo Ji Kim, Joong Keun Lee, Sun Young Ahn, Yu Yeon Jo, Tae Hoon Kim, Ji Hyun Shim, Myung Sub Choi
    핑크빛 박테리아: 김수지, 이중근, 안선영, 조유연, 김태훈, 심지현, 최명섭
  206. Young Ho Ha Solo Exhibition: Bang Memory
    하영호 개인전: 뱅 메모리
    Young Ho Ha
    하영호
  207. Magical Visual: Boc Su Jung, Biho Ryu, Gwang Hyun Jo, On Sung Choi, Suran Choi
    마법의 시각: 정복수, 유비호, 조광현, 최온성, 최수란
  208. Saeng Gon Han Solo Exhibition
    한생곤 개인전
    Saeng Gon Han
    한생곤
  209. idee doll
    아이디 달
  210. Jin Kyung Lee Solo Exhibition: Youngyangtang 31-5628 for sale
    이진경 개인전: 영양탕 31-5628 팝니다
    Jin Kyung Lee
    이진경
  211. Open-call artists for 300 Season's Greeting Cards
    300개의 연하장
  212. Crime Photo Show: Hong Goo Kang, Yeong Gil Kim, Chang Jun Lee, Sang Kil Kim
    범죄사진전: 강홍구, 김영길, 이창준, 김상길
  213. Sang Baek Ha Trend Show: &7人
    하상백 개인전: &7人전
    Sang Baek Ha
    하상백
  214. Sang Baek Ha Trend Show: &7人
    하상백 개인전: &7人전
    Sang Baek Ha
    하상백
  215. Seok Mee Noh Solo Exhibition: Welcome to Happy House
    노석미 개인전: ‘즐거운 가게’로 오세요
    Seok Mee Noh
    노석미
  216. Ji Hyun Ko Solo Exhibition: Housekeeper
    고지현 개인전: 주부主婦
    Ji Hyun Ko
    고지현
  217. Lovely Two in One: Suran Choi, Young Tae Ko
    러블리 투 인 원: 최수란, 고영태
    Suran Choi, Young Tae Ko
    최수란, 고영태
  218. 2gaLee-In Memory
    이갈이-인 메모리
  219. Library of Babel: Antiphlamine, Mi Kim
    바벨의 도서관: 안티푸라민, 김미
    Antiphlamine, Mi Kim
    안티푸라민, 김미
  220. GRIM CLUB: Jae Moon No, Harry Jang, Young Mean Kang
    그림 클럽: 노재문, 장해리, 강영민
  221. Minouk Lim, Frederic Michon: SCREEN DRUGS
    스크린 마약: 임민욱, 프레데릭 미숑
    Minouk Lim, Frederic Michon
    임민욱, 프레데릭 미숑
  222. Kyungah Ham Solo Exhibition: Room with a view
    방안에 보이는 전경: 함경아 개인전
    Kyungah Ham
    함경아
  223. Jung Kyu Lim Solo Exhibition: Drawing for fun car
    재밌는 자동차 드로잉전: 임정규 개인전
    Jung Kyu Lim
    임정규
  224. Two Persons’ Exhibition of Jeong Hwa Choi, Seo Young Chung: Reuse version at Hongdae
    홍대앞 재탕 버전으로 보는 최정화–정서영 2인전
    Jeong Hwa Choi, Seo Young Chung
    최정화, 정서영
  225. Suejin Chung Solo Exhibition
    정수진 개인전
    Suejin Chung
    정수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