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Persons’ Exhibition of A Jin Yoon, Woo Suk Jang
Two Persons’ Exhibition of A Jin Yoon, Woo Suk Jang
윤아진, 장우석 2인전: 기호, 기체

NEWS

경계 너머: 에코페미니즘 심포지엄 Live on Earth: Ecofeminism and Art, a Planetary Symposium

경계 너머: 에코페미니즘 심포지엄 Live on Earth: Ecofeminism and Art, a Planetary Symposium

Program Details [ENG]

Join us on Friday, March 21st for the Live on Earth: Ecofeminism and Art, a Planetary Symposium!

Live on Earth: Ecofeminism and Art, a Planetary Symposium brings together an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group of thinkers and makers approaching systemic social and ecological justice concerns through the lens of art practice, art criticism, and art history. It is centered on the experience of feminists of all gender identities, and will address a wide range of topics such as historical and new materialism, anti-colonialism, afrofuturism, food sovereignty, and queer ecology, among many others. Challenging patriarchal and anthropocentric narratives, this series of discussions, presentations, performances, and screenings will help us “stay with the trouble” as together we navigate the meshwork of social, human, and non-human relations.

Following the sun around the Earth, the symposium will be staged over a 24-hour span, in three 8-hour sessions; it will begin on March 21th, 2025 at Alternative Space LOOP in Seoul, South Korea, then continue at West Den Haag in The Hague, the Netherlands, and finish up with The Brick at Art Center College of Design in Los Angeles, USA.

The Seoul session of Live on Earth: Ecofeminism and Art, a Planetary Symposium is an opportunity to listen to the stories of women who have left Korea, women who cannot leave, and women who have returned after leaving. Focusing on Korea as a concrete setting, we will explore the experiences and emotions of women over the past four decades. Through this, we delve deeply into how women’s bodies are entwined within capitalist exploitation and the legacy of colonialism, all in the specific context of Korea.

For those who want to participate on/offline, please make a reservation through Naver:
Naver reservation: Part 1
Naver reservation: Part 2
Naver reservation: Online Streaming (We will send the streaming link via text message to those who have registered.)

Symposium: 12PM - 8 PM KST, March 21st
Participants: Lusi Sapitri + Minja Gu, Mary Mellor, Ye-eun Min, Jason Kim, Heejeong Jung, Gahee Ko, Natasha Tontey, Hyungjung Lee, Hyunjoo Kim, ha cha youn, and Maria Mies

Program Schedule:
12:00-12:10 Opening
12:10-13:20 Opening Performance – Lusi Sapitri + Minja Gu, <In the Food for Love – Ramadan Lunch>
13:20-14:00 Interview – Mary Mellor
14:10-14:30 Talk (Ecofeminism Workshop) – Ye-eun Min, <Even beyond the field, it is still the field.>
14:30-14:50 Talk (Ecofeminism Workshop) – Heejeong Jung, <Living with the Landscape.>
14:50-15:10 Talk (Ecofeminism Workshop) – Gahee Ko, <Alternatives from the Kitchen.>
15:10-15:40 Roundtable – Talk (Ecofeminism Workshop)
15:40-16:10 Screening – Natasha Tontey, <Garden Amidst the Flame.>
16:10-16:55 Presentation – Hyungjung Lee, <The New System We Will build beyond Climate Crisis.>
16:55-17:40 Presentation – Hyunjoo Kim, <On going Ppaepeorl Project.>
17:40-17:50 Screening – ha cha youn, <Balade de Carola.>
17:50-18:30 Presentation – ha cha youn
18:30-19:00 Roundtable
19:00-19:30 Screening - Maria Mies, <The Global in the Local, an Eco-Feminist Perspective>
19:30-20:00 Wrap-up session

<경계 너머: 에코페미니즘 심포지엄> 세부 내용 전문 [KOR]

3월 21일(금) 정오, <경계 너머: 에코페미니즘 심포지엄 Ecofeminism and Art: a Planetary Symposium>에 초대합니다.

<경계 너머: 에코페미니즘 심포지엄>은 예술 실천과 비평, 예술사적 관점을 기반으로 사회 정의와 생태 정의를 탐구해 온 국제적이고 다학제적인 사상가와 창작자들을 한자리에 모으는 자리입니다. 심포지엄은 다양한 젠더 정체성을 가진 페미니스트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반식민주의, 아프로퓨처리즘, 식량 주권, 퀴어 생태학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룹니다. 발제, 퍼포먼스, 토론, 상영을 통해 가부장적이고 인간 중심적인 서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사회적·인간적·비인간적 관계망을 함께 탐색할 예정입니다.

이는 서울, 헤이그,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세 개의 현대 예술 기관을 거점으로 태양의 움직임을 따라 전 지구를 순회하는 형식으로, 24시간 동안 세 개의 도시에서 각각 8시간씩 세션을 진행합니다. 심포지엄은 3월 21일 정오 서울의 대안공간 루프에서 시작하여, 헤이그의 웨스트 덴 하그, 그리고 로스앤젤레스의 더 브릭에서 마무리됩니다.

3월 21일 정오부터 8시까지 대안공간 루프(서울)에서 열리는 <경계 너머: 에코페미니즘 심포지엄>의 첫 번째 세션은 한국을 떠난 여성, 떠날 수 없는 여성, 그리고 떠나온 여성의 이야기들을 듣는 자리입니다. 지난 40여 년간 여성들의 경험과 감정을 한국이라는 구체적인 공간을 중심으로 논의합니다. 이 과정에서 자본주의적 착취 구조와 식민주의적 역사 속에서 여성의 신체가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한국이라는 상황 안에서 섬세하게 파고듭니다.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시는 분들께서는 네이버 예약을 통해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네이버 예약 링크: 1부
네이버 예약 링크: 2부
네이버 예약 링크: 온라인 스트리밍 (참여 신청하신 분들에게 문자로 스트리밍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심포지엄: 3월 21일(금) 정오 - 오후 8시
참여자: 구민자 + 루시 사피트리, 고가희, 제이슨 김, 김현주, 매리 멜러, 민예은, 이현정, 정희정, 나타샤 톤티, 하차연, 마리아 미즈

심포지엄 일정
12:00-12:10 오프닝
12:10-13:20 오프닝 퍼포먼스 - 루시 사피트리 + 구민자, <In the Food for Love - 라마단 점심>
13:20-14:00 인터뷰 - 매리 멜러
14:10-14:30 토크 (에코페미니즘 워크샵) - 민예은, <밭의 나머지는 밭이야>
14:30-14:50 토크 (에코페미니즘 워크샵) - 정희정, <풍경으로 살아가기>
14:50-15:10 토크 (에코페미니즘 워크샵) - 고가희, <부엌에서 만든 대안>
15:10-15:40 라운드 테이블 - 토크 (에코페미니즘 워크샵)
15:40-16:10 스크리닝 - 나타샤 톤티, &불꽃 속의 정원>
16:10-16:55 발제 - 이현정, <기후위기 너머 우리가 만들 새로운 세계>
16:55-17:40 발제 - 김현주, <온고잉 빼뻘프로젝트>
17:40-17:50 스크리닝 - 하차연, <캐롤라의 여정>
17:50-18:30 발제 - 하차연
18:30-19:00 라운드 테이블
19:00-19:30 스크리닝 - 마리아 미즈, <지역에 깃든 세계: 에코페미니스트 관점에서>
19:00-20:00 마무리 토론

  1. 경계 너머: 에코페미니즘 심포지엄 Live on Earth: Ecofeminism and Art, a Planetary Symposium
  2. 2025 대안공간 루프 코디네이터(연수단원) 채용 공고
  3. 엘시와 마셜: 피드백 #7 심포지움과 오프닝 퍼포먼스에 초대합니다.
  4. 2023년 사단법인 대안공간 루프 후원금 사용 내역
  5. 2025 International Open Call for Artist, Alternative Space LOOP
  6. 2025 International Open Call for Independent Curator, Alternative Space LOOP
  7. 제2회 <에코페미니즘 워크샵 Eco-Feminism Workshop> 참여자 모집
  8. 하차연HA CHA YOUN『홈(즈)Home(s)』출간기념 온라인 스크리닝
  9. 자매들, 우리는 커진다 X 세계에 씨 뿌리기 서울-샌프란시스코 자매 프로젝트 단행본 출판
  10. 코한 에렐 토크 콘서트 Korhan Erel’s Talk&Concert
  11. 어스시 토크+스크리닝 EarthSea Talk+Screening 12월 프로그램
  12. 어스시 토크+스크리닝 EarthSea Talk+Screening 11월 프로그램
  13. 어스시 토크+스크리닝 EarthSea Talk+Screening
  14. '대안공간 루프 2024년 작가 공모, 기획 전시 공모’ 선정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15. 2024 International Open Call for Artist, Alternative Space LOOP
  16. 2024 International Open Call for Independent Curator, Alternative Space LOOP
  17. 어스시 스터디 EarthSea Study 1월 프로그램
  18. [대안공간 루프] 2023 코디네이터(연수단원) 채용 공고
  19. 어스시 스터디 EarthSea Study 12월 프로그램
  20. '대안공간 루프 2023년 작가 공모, 기획 전시 공모’ 선정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21. 2023 International Open Call for Artist, Alternative Space LOOP
  22. 2023 International Open Call for Independent Curator, Alternative Space LOOP
  23. 어스시 스터디 EarthSea Study 10월 프로그램
  24. 2021년 사단법인 대안공간 루프 후원금 사용 내역
  25. 어스시 스터디 EarthSea Study
  26. [대안공간 루프] 2022년 문화예술기관 연수단원 모집
  27. -AND-
  28. ‘대안공간 루프 2022년 작가 공모, 기획 전시 공모’ 선정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29. 예술가를 위한 생태-사회주의 세미나: 생태-젠더-공산
  30. 2022 International Open Call for Artists, Alternative Space LOOP
  31. 2022 International Open Call for Independent Curator, Alternative Space LOOP
  32. ‘에코페미니즘 워크샵 Eco-Feminism Workshop’ 참가자 모집
  33. 예술-시민-교양 프로젝트 <간결한 생각들>
  34. 2020년 사단법인 대안공간 루프 후원금 사용 내역
  35. [레퓨지아 예약인원 변경 안내]
  36. [대안공간 루프] 2021년 문화예술기관 연수단원 모집
  37. New years greetings 2021
  38. 대안공간 루프 2020년 작가 공모, 기획전시 공모 선정 결과
  39. 2021 International Open Call for Independent Curator, Alternative Space LOOP
  40. 2021 International Open Call for Artist, Alternative Space LOOP
  41. 카즈나리 핫토리 ‹CAKE 케잌› 실크스크린 특별 에디션 사전 예약 주문
  42. 대안공간 루프 유급 인턴 모집 공고
  43. Ways of Curating 양지윤 역자 강연
  44. [2020. 2. 26] 잠정 휴관 공지
  45. [대안공간 루프] 2020년 문화예술기관 연수단원 모집
  46. 권병준 라이브 공연, 싸구려 인조인간의 노랫말 2 (로보트 야상곡)
  47. 대안공간 루프 2020년 작가 공모 선정 결과
  48. “이상한 과일이 왔어요”
  49. Korea-Japan Interchange Exhibition <50/50>
  50. 2020 International Open Call for Independent Curator, Alternative Space LOOP
  51. 2020 International Open Call for Artist, Alternative Space LOOP
  52. "철푸덕, 페미니즘" 토크&액티비티
  53. [대안공간 루프] 2019년 문화예술기관 연수단원 모집
  54. 권병준 개인전 라이브 이벤트: 붉은 커튼 너머에, 그 너머에
  55. 대안공간 루프 2019년 기획전시 공모 선정 결과
  56. 대안공간 루프 2019년 작가 공모 선정 결과
  57. 2019 International Open Call for Independent Curator, Alternative Space LOOP
  58. 2019 International Open Call for Artist, Alternative Space LOOP